Inbox/Q&A Inbox

Q) 가계도와 호칭 그리고 촌수에 대해 궁금해요.

sosohantry 2025. 4. 14. 12:46
반응형

한국 사회에서 가계도와 그에 따른 호칭은 가족 관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여기서 6촌까지의 관계와 호칭을 설명하겠습니다.

가계도와 촌수

촌수 계산법

  • 직계: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는 1촌, 조부모는 2촌입니다12.
  • 방계: 형제나 사촌과 같은 관계는 방계로, 형제는 2촌, 사촌은 4촌입니다12.

 

촌수와 호칭

촌수 관계 호칭
1촌 부모, 자녀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2촌 형제, 조부모, 손자녀 형, 누나, 조부, 조모, 손자, 손녀
3촌 삼촌, 이모, 고모, 조카 삼촌, 이모, 고모, 조카
4촌 사촌, 외사촌 사촌
5촌 재종형제 (사촌의 자녀) 재종형제
6촌 당숙 (아버지의 사촌), 종조부 (할아버지의 형제) 당숙, 종조부
 
 

호칭 예시

  • 삼촌: 부모의 형제, 3촌
  • 사촌: 부모의 형제의 자녀, 4촌
  • 종숙: 아버지의 사촌 형제, 5촌
  • 당숙: 아버지의 사촌 형제, 5촌
  • 종조부: 할아버지의 형제, 6촌

 

결혼 후 호칭

결혼 후에는 배우자의 가족을 포함한 새로운 호칭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남편의 형은 '아주버님', 남편의 여동생은 '아가씨' 또는 '시누이'로 부릅니다3.

 


Q) 종숙과 당숙의 차이점


**종숙(從叔)**과 **당숙(堂叔)**은 한국 사회에서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지칭하는 호칭입니다. 두 호칭 모두 5촌 관계에 해당하며, 종숙과 당숙은 같은 촌수에 해당하지만 사용하는 맥락이나 어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종숙(從叔)

  • 의미: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의미하며, 5촌 관계입니다13.
  • 사용: 종숙은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공식적으로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입니다.
  • 예시: "종숙 어른"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16.

 

당숙(堂叔)

  • 의미: 종숙을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으로,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의미합니다57.
  • 사용: 당숙은 종숙보다 다소 친근한 느낌을 주며, 종숙과 같은 5촌 관계입니다.
  • 예시: "당숙 어른"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46.

 

차이점

  • 어감: 당숙은 종숙보다 다소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 당숙은 종숙을 더 다정하게 부르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57.
  • 사용 맥락: 종숙은 공식적인 상황에서, 당숙은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더 자주 사용될 수 있습니다.

 


Q) 구성원이 결혼했을 경우의 호칭

 

가계도와 촌수

  • 촌수 계산: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1촌으로 간주합니다. 형제와 자매는 2촌입니다. 부모의 형제는 3촌, 그 자녀는 4촌, 그 자녀는 5촌, 그 자녀는 6촌입니다34.

 

호칭

1촌: 부모와 자녀

  • 호칭: 아버지(아버님), 어머니(어머님), 아들(아들), 딸(딸)

2촌: 형제와 자매

  • 호칭: 형(형님), 누나(언니), 동생(아우)

3촌: 삼촌, 이모, 고모

  • 호칭:
    • 아버지의 형제: 큰아버지(백부), 작은아버지(숙부)
    • 아버지의 형제의 부인: 큰어머니(백모), 작은어머니(숙모)
    • 어머니의 형제: 외삼촌(외숙)
    • 어머니의 형제의 부인: 외숙모
    • 어머니의 자매: 이모
    • 어머니의 자매의 남편: 이모부
    • 아버지의 자매: 고모
    • 아버지의 자매의 남편: 고모부

4촌: 사촌

  • 호칭:
    • 삼촌의 자녀: 사촌 형제(종형, 종제)
    • 이모의 자녀: 외사촌 형제
    • 고모의 자녀: 사촌 형제

5촌: 재종형제

  • 호칭: 사촌의 자녀

6촌: 당숙, 종조부

  • 호칭:
    • 할아버지의 형제: 종조부
    • 아버지의 사촌 형제: 당숙(종숙)
    • 아버지의 사촌 형제의 부인: 당숙모(종숙모)

결혼 후 호칭

  • 남편의 가족:
    • 남편의 아버지: 시아버지
    • 남편의 어머니: 시어머니
    • 남편의 형: 아주버님
    • 남편의 형의 부인: 형님
    • 남편의 누나: 시누이(형님)
    • 남편의 여동생: 시누이(아가씨)
    • 남편의 남동생: 서방님
    • 남편의 남동생의 부인: 동서
  • 아내의 가족:
    • 아내의 아버지: 장인어른
    • 아내의 어머니: 장모님
    • 아내의 오빠: 손윗처남(형님)
    • 아내의 오빠의 부인: 손윗처남댁(아주머니)
    • 아내의 남동생: 처남
    • 아내의 남동생의 부인: 처남댁
    • 아내의 언니: 처형
    • 아내의 언니의 남편: 손윗동서(형님)

이러한 호칭은 한국 사회에서 가족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직계: 혈연이 친자 관계로 이어진 경우를 뜻합니다.
  • 방계: 직계에서 갈라져 나온 친계를 가리킵니다.
  • 종(從): 4촌을 뜻하며, 재종은 6촌, 삼종은 8촌입니다13.

 

전통 민화 스타일의 그림으로, 소나무 아래 나무 벤치에 앉은 두 노인이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왼쪽 인물은 파란색 한복을 입고 온화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오른쪽 인물은 흰색 한복에 검은 갓을 쓰고 책을 펼쳐 들고 있다. 배경에는 학 두 마리가 하늘을 날고 있고, 오른쪽에는 국화와 복숭아가 그려져 있다. 그림은 따뜻한 색조와 굵은 붓터치로 전통적인 민화의 분위기를 잘 살리고 있다.
친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