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백석, <비>: 고향의 냄새와 그리움

sosohantry 2025. 4. 23. 13:24
반응형

백석, <비>


아카시아들이 언제 힌 두레방석을 깔었나
어디로 부터 물쿤 개비린내가 온다



수채화 스타일의 그림으로, 비가 내리는 한적한 시골 풍경을 그렸다. 화면 왼쪽에는 흰 아카시아 꽃이 흐드러지게 핀 나무들이 줄지어 있고, 그 아래에는 꽃잎이 수북이 쌓여 흰 두레방석처럼 보인다. 오른쪽에는 빗물이 고여 흐르는 진흙 길과 개울이 있고, 전체적으로 비에 젖은 숲의 푸르름과 흐릿한 안개가 어우러져 차분하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 perspectives

 

작가와 작품 분석

 

작가의 삶
백석(본명: 백기행, 1912~1996)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분단의 시대를 살아간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입니다.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고향의 풍경과 서민의 삶을 따뜻하고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 많습니다. 백석은 시에서 방언과 토속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냈습니다.

 

작품의 정서, 상황, 시대적 배경
<비>는 비가 내리는 고향의 풍경을 담담하게 그린 시입니다. 아카시아 꽃이 흰 두레방석처럼 깔린 마을, 그리고 비가 내리며 퍼지는 개비린내(개울이나 강에서 나는 비릿한 냄새)는 고향의 정취와 함께, 그리움과 쓸쓸함을 자아냅니다. 이 시는 일제강점기 이후 혼란스러운 시대에, 도시로 떠난 이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작품의 흥미로운 뒷이야기
백석은 고향 정주와 그곳의 자연, 사람들에 대한 애정을 평생 간직했습니다. <비> 역시 실제 고향에서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쓴 것으로, 시인은 자연의 냄새와 촉감을 통해 독자에게 고향의 감성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영향력 분석

 

이 작품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비>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자연의 냄새와 정취를 일깨워줍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잊고 있던 고향의 소중함과, 자연과의 연결감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이 작품에게 영향을 받은 분야
백석의 시는 현대 한국시의 언어적 실험과 서정성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의 시어와 정서는 문학뿐만 아니라 미술,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영감을 주었습니다.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선정 및 답변 제공
Q) 백석의 <비>에서 ‘개비린내’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 ‘개비린내’는 개울이나 강가에서 나는 비릿한 냄새로, 고향의 자연스러운 풍경과 촉감을 상징합니다. 이는 시인이 느낀 고향의 생생한 정취와 그리움을 전달하는 중요한 시적 장치입니다.

 

용어 및 배경 설명

  • 아카시아: 봄과 초여름에 하얗게 피는 향기로운 꽃나무. 시에서는 하얀 두레방석(둥글고 평평한 방석)처럼 마을을 덮은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 두레방석: 공동체에서 함께 사용하는 큰 방석. ‘흰 두레방석’은 아카시아 꽃이 마을에 넓게 깔린 모습을 말합니다.
  • 개비린내: ‘개’는 시냇물, ‘비린내’는 물고기나 젖은 흙에서 나는 특유의 냄새입니다. 비가 오면 고향의 개울이나 논에서 퍼지는 냄새를 의미합니다.

 


# link:

 

 

 

# ref.: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4368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