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처용가 (處容歌)>: 처용의 덕과 복의 노래

sosohantry 2025. 3. 3. 12:51
반응형

<처용가 (處容歌)>

 

향가 본문: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
二兮隱吾下於叱古
二兮隱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何如爲理古

 

 

 

양주동 해석본:

 

ᄉᆡᄫᆞᆯ ᄇᆞᆯ긔 ᄃᆞ래
밤드리 노니다가
드러ᅀᅡ 자리 보곤
가ᄅᆞ리 네히어라
둘흔 내 해엇고
둘흔 뉘 해언고
본ᄃᆡ 내 해다마ᄅᆞᆫ
아ᅀᅡᄂᆞᆯ 엇디 ᄒᆞ릿고

서울 밝은 달에
밤들도록 노니다가
들어와 자리 보니
다리가 넷이어라
둘은 내 해였고
둘은 뉘 해인고
본디 내 해다마는
앗은 걸 어찌할꼬

 

 


<처용가>

 

고려가요 원문 :

 

(前腔) 新羅盛代 昭盛代
天下大平 羅候德
處容아바
以是人生애 相常不語ᄒᆞ시란ᄃᆡ
以是人生애 相常不語ᄒᆞ시란ᄃᆡ
(附葉) 三災八難이 一時消滅ᄒᆞ샷다
(中葉) 어와 아븨 즈ᅀᅵ이여 處容아븨 즈ᅀᅵ이여
(附葉) 滿頭揷花 계오우샤 기울어신 머리예
(小葉) 아으 壽命長願遠ᄒᆞ샤 넙거신 니마해
(後腔) 山象 이슷 기ᇫ기ᇰ어신 눈닙섭에
愛人相見ᄒᆞ샤 오ᅀᆞᆯᄋᆞᆯ어신 누네
(附葉) 風入盈庭ᄒᆞ샤 우글어신 귀예
(中葉) 紅桃花ᄀᆞ티 븕거신 모야해
(附葉) 五香 마ᄐᆞ샤 웅긔어신 고해
(小葉) 아으 千金 머그샤 어위어신 이베
(大葉) 白玉琉璃ᄀᆞ티 ᄒᆡ여어신 닛바래
人讚福盛ᄒᆞ샤 미나거신 ᄐᆞᆨ애ᄐᆞ개
七寶 계우샤 숙거신 엇게예
吉慶 계우샤 늘의어신 ᄉᆞ맷길헤
(附葉) 설믜ᄆᆡ 모도와 有德ᄒᆞ신 가ᄉᆞ매
(中葉) 福智俱具足ᄒᆞ샤 브르거신 ᄇᆡ예
紅鞓 계우샤 굽거신 히허리예
(附葉) 同樂大平ᄒᆞ샤 길이ᅌᅥ신 허튀예
(小葉) 아으 界面 도ᄅᆞ샤 넙거신 바래
(前腔) 누고 지ᅀᅥᅌᅥ 셰니오 누고 지ᅀᅥᅌᅥ 셰니오
바늘ᄅᆞᆯ도 실도 어ᄡᅵ업시 바늘ᄅᆞᆯ도 실도 어ᄡᅵ업시
(附葉) 處容아비ᄅᆞᆯ를 누고 지ᅀᅥᅌᅥ 셰니오
(中葉) 마아만 마아만ᄒᆞ니여
(附葉) 十二諸國이 모다 지ᅀᅥ어 셰온욘
(小葉) 아으 處容아비ᄅᆞᆯ를 마아만ᄒᆞ니여
(後腔) 머자 외야자 綠李야여
ᄲᆞᆯ리 나 내 신시ᇇ고ᄒᆞᆯ흘 ᄆᆡ야여라
(附葉) 아니옷 ᄆᆡ시면 나리어다 머즌 말
(中葉) 동경 ᄇᆞᆯᄀᆞᆫ근 ᄃᆞ래 새도록 노니다가
(附葉) 드러 내 자리ᄅᆞᆯ를 보니 가ᄅᆞ리 네히로섀라
(小葉) 아으 둘흔 내 해어니와 둘흔 뉘 해어니오
(大葉) 이런 저긔 處容아비옷 보시면
熱病神熱病大神이ᅀᅡ아 膾ㅅ가시로다
千金을 주리여 處容아바
七寶를 주리여 處容아바
(附葉) 千金 七寶도 말마오
熱病神를을 날 자바 주쇼셔
(中葉) 山이여 ᄆᆡ히여 千里外예
(附葉) 處容아비ᄅᆞᆯ를 어여 려녀거져
(小葉) 아으 熱病大神의 發願이샷다

 

 

 

고려가요 해석본 :

 

(전강) 신라성대 소성대
천하 태평은 나후의 덕
처용 아비여
이로써 인생에 서로 말씀 아니하실진대
이로써 인생에 서로 말씀 아니하실진대
(부엽) 삼재 팔난이 일시에 소멸하도다
(중엽) 어와 아비의 모습이여 처용 아비의 모습이여
(부엽) 머리 꽂은 꽃에 겨우사 기울어진 머리에
(소엽) 아으 수명 장원하사 넓으신 이마에
(후강) 산의 모습 비슷하게 깃으신 눈썹에
애인을 만나보사 오롯하신 눈에
(부엽) 바람 가득한 뜰에 드사 우그러진 귀에
(중엽) 홍도화같이 붉으신 모양에
(부엽) 오향 맡으사 우멍하신 코에
(소엽) 아으 천금 먹으사 드넓으신 입에
(대엽) 백옥 유리같이 허연 이빨에
남들이 기리고 복이 성하사 내미신 턱에
칠보에 겨우사 숙어진 어깨에
길경에 겨우사 늘어진 소맷길에
(부엽) 슬기[5] 모이어 유덕하신 가슴에
(중엽) 복과 지혜 갖추사 부르신 배에
붉은 가죽띠에 겨우사 굽으신 허리에
(부엽) 태평을 함께 즐기사 길어진 다리에
(소엽) 아으 계면조 맞춰 도사 넓으신 발에
(전강) 누가 지어 세우는고 누가 지어 세우는고
바늘도 실도 없이 바늘도 실도 없이
(부엽) 처용 아비를 누가 지어 세우는고
(중엽) 많고 많은 이들이여[6]
(부엽) 열두 나라가 모두 지어 세운
(소엽) 아으 처용 아비를, 많은 이들이여
(후강) 버찌야 오얏아 녹리야
빨리 나와 내 신코를 매어라
(부엽) 아니 매어 있으면 나오리다 궂은 말
(중엽) 동경 밝은 달에 새도록 노닐다가
(부엽) 들어와 내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소엽) 아으 둘은 내 것이거니와 둘은 누구 것인고
(대엽) 이런 적에 처용 아비만 보시면
열병신이야 횟감이로다
천금을 주랴 처용 아비여
칠보를 주랴 처용 아비여
(부엽) 천금 칠보도 말고
열병신을 내게 잡아 주소서
(중엽) 산이나 들이나 천 리 외에
(부엽) 처용 아비를 피해 가련다
(소엽) 아으 열병대신의 발원이시로다

 


이 그림은 전통적인 한국의 복식과 가면을 착용한 두 인물을 묘사한 작품입니다. 두 인물은 화려한 문양이 새겨진 긴 옷을 입고 있으며, 머리에는 깃털 장식이 달린 관을 쓰고 있습니다. 얼굴에는 표정이 강조된 흰색 가면을 쓰고 있어, 한국의 전통 공연 예술인 탈춤이나 의례와 관련된 분위기를 풍깁니다. 두 사람은 서로 가까이 앉아 대화를 나누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손짓과 표정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림은 고풍스러운 색감과 섬세한 디테일로 전통적인 미학을 잘 살리고 있습니다.
처용가

 

 

#perspectives

 

시 분석 및 비평

처용가는 신라 시대의 8구체 향가로,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주술적 성격을 지닌 작품이다1. 이 시는 처용이 자신의 아내를 범한 역신을 발견하고 부른 노래로, 분노와 슬픔, 체념과 관용의 감정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6.

시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2행: 밤늦게까지 놀다 집에 돌아옴
3-4행: 역신이 아내를 범한 것을 발견함
5-6행: 역신의 침입을 확인하고 체념함
7-8행: 처용의 관용적 태도

이 시는 처용의 초인적인 태도를 통해 역신을 물리치는 주술적 기능을 수행한다. 처용의 관용적 태도는 역신을 감복시켜 물러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처용을 신격화하는 계기가 된다6.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처용가의 작자는 미상이지만, 전설에 따르면 처용은 신라 헌강왕 때 동해 용왕의 아들로 알려져 있다1. 그러나 이는 설화적 요소로, 실제 작자에 대한 정보는 없습니다.

 

시인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창작 과정

처용가는 구전으로 전해져 온 작품으로, 개인의 창작 과정보다는 집단적인 전승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7.

 

시 관련 뉴스와 정보

처용가는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처용무의 기원이 되는 작품입니다2.

 

역사적 배경

처용가는 신라 헌강왕 때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기는 신라의 말기로, 사회적 혼란과 불안이 증가하던 시기였습니다1.

 

그 당시 한국인의 관점으로 이 시를 설명

당시 한국인들에게 처용가는 주술적인 힘을 가진 노래로 인식되었을 것입니다. 역신을 물리치고 복을 부르는 벽사진경의 기능을 하는 중요한 의례적 노래로 여겨졌을 것입니다15.

 

현대 한국인의 관점으로 이 시를 설명

현대 한국인들에게 처용가는 한국 문학사의 중요한 유산으로 인식됩니다. 또한 처용무의 기원이 되는 작품으로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2.

 

현대 미국인의 관점으로 이 시를 설명

미국인들에게 처용가는 동양의 신비로운 문화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주술적 요소와 관용의 메시지가 담긴 독특한 문화적 산물로 이해될 것입니다.

 

시를 읽기 쉽게 현대적으로 변환

밝은 달빛 아래 서울에서
밤늦게까지 놀다 돌아와 보니
침대에 다리가 네 개!
두 다리는 내 것, 나머지는 누구?
원래 내 자리였지만
빼앗긴 걸 어쩌겠어?

 

다음 질문에 대해 답해주세요.

  1. 이 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처용가는 분노와 복수 대신 관용과 초월을 선택하는 지혜를 보여줍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도 갈등 해결의 모범이 될 수 있습니다.
  2. 이 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은 무엇인가?
    • 인간의 감정을 초월하는 태도가 오히려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이 시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방식은 어떠한가?
    • 이 시는 배우자의 외도라는 현실적 문제를 다루면서도, 이를 초월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핵심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향가: 신라 시대의 노래 형식
  • 벽사진경: 사악함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함
  • 역신: 질병을 일으키는 귀신
  • 주술: 초자연적인 힘을 빌려 어떤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행위

 

시 제목 한자어 설명

처용(處容): '처'는 '머물다', '용'은 '모습'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모습으로 머무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link:

 

 

 

#ref.:

https://namu.wiki/w/%EC%B2%98%EC%9A%A9%EA%B0%80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715

https://ko.wikisource.org/wiki/%EC%B2%98%EC%9A%A9%EA%B0%8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