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김수장, <적설이 다 녹도록>: 봄의 활기와 자연의 변화를 담다

sosohantry 2025. 4. 9. 16:36
반응형

김수장, <적설이 다 녹도록>

적설(積雪)이 다 녹아지되 봄소식을 모르더니

귀홍(歸鴻)은 득의천공활(得意天空豁)이요

와류는(臥柳)는 생심수동요(生心水動搖)로다

아이야 새 술 걸러라 새 봄맞이 하리라.

 

 

---

현대어 번역 시도:

 

눈이 다 녹아 없어지는데도 봄이 온 줄 모르더니,
기러기는 하늘을 넓게 날아다니며 기분이 좋아하고,
버드나무는 물이 흐르면서 생기를 찾고 있구나.
아이야, 새 술을 걸러라. 새 봄 맞이할 거야.


수채화 스타일의 그림으로, 초봄의 고요한 시골 풍경이 묘사되어 있다. 아직 잔설이 남은 산과 평원이 배경에 펼쳐지고, 가운데에는 잔잔히 흐르는 개울 옆에 앉아 술을 거르는 청년이 있다. 개울가에는 잎이 피지 않은 수양버들이 늘어져 있으며, 하늘 높이 기러기 한 쌍이 날고 있다. 전체적으로 따뜻하면서도 차분한 색조가 자연의 변화와 새로운 시작의 분위기를 담고 있다.
적설이 다 녹도록

 

#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정보

시인 프로필: 김수장은 조선시대의 문인 가객으로, 호는 노가재(老歌齋)입니다. 그는 김천택과 함께 경정산가단(敬亭山歌壇)을 결성하여 시조 보급에 힘썼고, 『해동가요』(海東歌謠)를 편찬했습니다12.

 

시의 내용: 이 시는 봄의 활기를 담고 있습니다. 초장은 눈이 녹아도 봄이 온 것을 느끼지 못했다는 내용입니다. 중장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돌아가는 모습과 버드나무가 물 흐름에 따라 생기를 찾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종장은 봄맞이의 기쁨을 표현하며, 새 술을 걸러 새 봄을 맞이하자는 내용입니다12.

 

창작 과정: 김수장은 경정산가단의 중심 인물로, 시조를 통해 자연과 계절의 변화를 표현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그의 시는 자연의 생명력과 인간의 감정을 아름답게 담고 있습니다.

 

역사적 및 문화적 배경

시의 역사적 배경: 이 시는 조선 영조 시대에 작성된 것으로, 당시 자연과 계절의 변화를 주제로 한 시조가 유행했습니다. 김수장은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아 봄의 활기를 표현했습니다12.

 

그 당시 한국인의 관점: 당시 한국인들은 자연의 변화를 통해 삶의 변화를 인식하고, 봄은 새로운 시작과 희망의 계절로 여겼습니다. 이 시는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봄의 생기를 묘사합니다.

 

현대 한국인의 관점: 현대 한국인들은 빠른 도시화와 기술 발전 속에서 자연과의 연결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 시는 자연과의 연결을 다시 찾고, 봄의 활기를 통해 새로운 시작을 꿈꾸는 데 도움을 줍니다.

 

현대 미국인의 관점: 미국인들은 자연과 계절의 변화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시를 높이 평가합니다. 이 시는 봄의 생명력과 인간의 감정을 아름답게 담아, 미국인들에게도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영향력 분석

시의 영향력: 이 시는 자연과 계절의 변화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봄의 활기를 통해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꿈꾸는 데 도움을 줍니다.

 

통찰: 이 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은 자연과의 연결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자연의 변화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삶의 변화를 인식하고, 새로운 시작을 꿈꿀 수 있습니다.

 

현실 세계 반영: 이 시는 봄의 활기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반영합니다. 봄은 새로운 시작과 희망의 계절로, 이 시는 이러한 감정을 아름답게 담아냅니다.

 

영향 분야: 이 시는 문학, 예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자연과 계절의 변화를 주제로 한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질문과 답변

Q) 이 시의 주제는 무엇인가요?
A) 이 시의 주제는 봄의 활기와 자연의 변화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Q) 김수장의 시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A) 김수장의 시는 자연의 생명력과 인간의 감정을 아름답게 담고 있으며, 한자어를 많이 사용하여 고전적인 느낌을 줍니다.

 

용어 설명

  • 적설(積雪): 쌓인 눈
  • 귀홍(歸鴻): 봄에 북쪽으로 돌아가는 철새 기러기
  • 득의천공활(得意天空豁): 기러기가 하늘을 넓게 날아다니는 모습
  • 와류(臥柳): 냇가에 비스듬히 누워 있는 버드나무
  • 생심수동요(生心水動搖): 버드나무가 물 흐름에 따라 생기를 찾는 모습

 

 


# link:

2025.04.16 - [문학 (Literature)] - List) 술과 관련된 시 목록: 인생, 술, 벗, 자연, 풍류, 시조, 조선시대, 허무, 여유, 철학

 

List) 술과 관련된 시 목록: 인생, 술, 벗, 자연, 풍류, 시조, 조선시대, 허무, 여유, 철학

정철 - 장진주사이정보 - 완월장취김육 - 자네 집에 술 익거든김창업 - 벼슬을 저마다 하면황희 - 대조 볼 붉은 골에주인이 술 부으니신흠 - 술이 몇 가지요윤선도 - 만흥정태화 - 술을 취케 먹고

sosohantry.tistory.com

 

 

 

# ref.:

https://www.imaeil.com/page/view/2010032007175003010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