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09 4

Poem) 김창업, <거문고 술 꽂아 놓고>: 고전적 정취와 우애

김창업 거믄고 술 자 노코 호졋이 낫 든 제柴門 犬吠聲에 반가온 벗 오도괴야아야 點心도 려니와 외자 濁酒 내여라 ---현대어 번역: 거문고를 연주하다가 술대를 꽂아 놓고 한가롭게 낮잠에 든 제 집 문 앞에서 개가 짖으니, 반가운 벗이 오는구나. 아이야, 점심도 하려니와 외상으로 탁주를 받아와라. # perspectives 김창업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화가로, 영의정 김수항의 아들입니다. 그는 진사에 급제하여 성균관 진사가 되었으며, 동몽교관과 통덕랑 등의 관직을 역임했습니다16. 1689년 기사환국으로 아버지가 사사되자 관직에 뜻을 버리고 시문, 학문, 그림에 전념했습니다16. 김창업은 시문과 그림에 뛰어났으며, 단원 김홍도의 스승 중 한 사람입니다16. 시인 분석생애와 경력: 김창업은 안..

Poem) 김수장, <적설이 다 녹도록>: 봄의 활기와 자연의 변화를 담다

김수장, 적설(積雪)이 다 녹아지되 봄소식을 모르더니귀홍(歸鴻)은 득의천공활(得意天空豁)이요와류는(臥柳)는 생심수동요(生心水動搖)로다아이야 새 술 걸러라 새 봄맞이 하리라. ---현대어 번역 시도: 눈이 다 녹아 없어지는데도 봄이 온 줄 모르더니,기러기는 하늘을 넓게 날아다니며 기분이 좋아하고,버드나무는 물이 흐르면서 생기를 찾고 있구나.아이야, 새 술을 걸러라. 새 봄 맞이할 거야. # perspectives시 분석 및 정보시인 프로필: 김수장은 조선시대의 문인 가객으로, 호는 노가재(老歌齋)입니다. 그는 김천택과 함께 경정산가단(敬亭山歌壇)을 결성하여 시조 보급에 힘썼고, 『해동가요』(海東歌謠)를 편찬했습니다12. 시의 내용: 이 시는 봄의 활기를 담고 있습니다. 초장은 눈이 녹아도 봄이 온 것을 ..

Poem) 정태화, <술을 취케 먹고>: 술과 시름의 만남

정태화, 술을 취케 먹고 두렷이 앉았으니 억만시름이 가노라 하직한다 아이야 잔 가득 부어라 시름 전송하리라 ---현대어 번역 시도: 술을 취하도록 마시고 여럿이 둥글게 둘러앉았더니, 온갖 근심과 걱정이 이제 물러간다고 작별 인사를 하는구나! 아이야, 잔을 가득 채워라, 가는 억만 시름에게 술이나 대접해 전송하리라. #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정보시인 프로필 및 창작 과정정태화(鄭太和, 1602~1673)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인조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여섯 차례나 영의정을 지냈습니다3. 그는 성품이 원만하여 남의 원한을 사지 않았으며, 임기응변에 능숙한 인물이었습니다1. 이 시조는 정태화가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어려움 속에서 술을 통해 마음의 시름을 풀고자 한 심리를 반영..

Poem) 신흠, <술이 몇 가지요>: 청주와 탁주의 즐거움

신흠, 술이 몇 가지요 청주와 탁주로다 다 먹고 취할선정 청탁이 관계하랴 달 밝고 풍청한 밤이어니 아니 깬들 어떠리 ---현대어 변환 시도: 술의 종류가 몇 가지인가? 청주와 탁주 두 가지로다.마시고 취하면 그만이지, 청주와 탁주의 차이가 무슨 상관인가?달이 밝고 바람이 맑은 밤이니, 술에서 깨어 있지 않은들 어떠랴. #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정보시인 프로필 및 창작 과정신흠(申欽, 1566-1628)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뛰어난 문장력과 정치적 역량을 발휘한 인물입니다. 그는 예조판서, 좌의정, 우의정, 영의정을 역임하며 조선의 주요 외교문서를 작성하고, 시문 정리 및 의례문서 제작에 참여했습니다34. 신흠은 청주와 탁주를 주제로 한 시조 "술이 몇 가지요"를 통해 술의 종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