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14 2

Q) 가계도와 호칭 그리고 촌수에 대해 궁금해요.

한국 사회에서 가계도와 그에 따른 호칭은 가족 관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여기서 6촌까지의 관계와 호칭을 설명하겠습니다.가계도와 촌수촌수 계산법직계: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는 1촌, 조부모는 2촌입니다12.방계: 형제나 사촌과 같은 관계는 방계로, 형제는 2촌, 사촌은 4촌입니다12. 촌수와 호칭촌수관계호칭1촌부모, 자녀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2촌형제, 조부모, 손자녀형, 누나, 조부, 조모, 손자, 손녀3촌삼촌, 이모, 고모, 조카삼촌, 이모, 고모, 조카4촌사촌, 외사촌사촌5촌재종형제 (사촌의 자녀)재종형제6촌당숙 (아버지의 사촌), 종조부 (할아버지의 형제)당숙, 종조부  호칭 예시삼촌: 부모의 형제, 3촌사촌: 부모의 형제의 자녀, 4촌종..

Inbox/Q&A Inbox 2025.04.14

Poem) 권필, <취시가(醉時歌)>: 김덕령의 억울한 죽음과 권필의 애도

권필, 권필이 꿈에서 읽은 김덕령의 「취시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취시가차곡무인문(醉時歌此曲無人聞) [취해서 부르는 노래여, 이 곡조를 듣는 이 없구나.]아불요취화월(我不要醉花月) [나는 꽃과 달에 취하고 싶지 않고]아불요수공훈(我不要樹功勳) [나는 공훈을 세우고 싶지도 않다오.]수공훈야시부운(樹功勳也是浮雲) [공훈을 세우는 것도 뜬구름이요]취화월야시부운(醉花月也是浮雲) [꽃과 달에 취하는 것도 뜬구름이라.]취사가무인지(醉時歌無人知) [취해서 부르는 노래여, 이 곡조 아는 사람 없네]아심지원장검보명군(我心只願長劍奉明君) [내 마음은 다만, 긴 칼로 명군을 받들길 원할 뿐이네.] 권필은 꿈에서 깬 뒤 다음과 같이 시로써 화답하였다고 한다. 장군석일파금과(將軍昔日把金戈) [장군은 지난날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