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백석, <창원도>: 남행의 길, 그리움과 자유의 노래

sosohantry 2025. 4. 29. 18:05
반응형

백석, <창원도>



원문:
<창원도>

솔포기에 숨엇다
토끼나 꿩을 놀래주고 십흔 산허리의 길은

업데서 따스하니 손 녹히고 십흔 길이다

개덜이고 호이호이 회피람 불며
시름 노코 가고 십흔 길이다

궤나리봇짐 벗고 따ㅅ불 노코 안저
담배 한대 피우고 십흔 길이다

승냥이 줄레줄레 달고가며
덕신덕신 이양하고 십흔 길이다

덕거머리 총각은 정든 님 업고 오고 십흔 길이다


 

---

현대어 변환 시도:

<창원도>


솔숲에 숨어서
토끼나 꿩을 놀라게 하고 싶은 산허리의 길은

햇볕이 따뜻하게 비쳐서 손을 녹이고 싶은 길이다.

개들이 뛰놀고, 휘파람을 불며
근심을 잊고 가고 싶은 길이다.

봇짐을 내려놓고 따뜻한 불을 피워
앉아서 담배 한 대 피우고 싶은 길이다.

승냥이가 줄지어 따라가고
덩실덩실 흥겹게 걷고 싶은 길이다.

머리를 땋은 총각은 사랑하는 사람을 업고 오고 싶은 길이다.



&quot;늦가을 산길 옆에 쪼그려 앉은 조선시대 복장의 남성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 그의 곁에는 짐 보따리가 놓여 있고, 길가에는 늑대처럼 생긴 동물이 조용히 걷고 있다. 배경에는 부드러운 수채화 느낌의 소나무, 완만한 능선의 산들과 푸른 안개 낀 하늘이 펼쳐져 있다. 전체적으로 따뜻하고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낸다.&quot;
창원도

 

# perspectives

 

작가와 작품 분석

 

작가의 삶

백석(白石, 본명 백기행, 1912~1996)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를 살았던 대표적인 한국 시인입니다.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일본 유학을 다녀온 뒤 조선일보 기자, 그리고 함흥 영생고보 영어교사로 일했습니다. 평안도 방언과 토속어, 서정적이면서도 서사적인 시로 한국 현대시의 지평을 넓혔습니다57.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했고, 다양한 번역과 동시, 산문도 남겼습니다.

 

작품의 정서, 상황, 시대적 배경

<창원도>는 1936년 백석이 조선일보를 떠나 남쪽 지방을 여행하며 쓴 ‘남행시초’ 연작의 첫 작품입니다.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 작가는 새로운 삶의 전환점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기차 안에서 창원 일대의 풍경과 자신의 감정을 담아냈습니다. 시인은 산허리 길, 따스한 햇살, 개와 함께 걷는 자유로운 모습, 봇짐을 내려놓고 쉬는 여유, 그리고 ‘정든 님’을 업고 오는 설렘을 노래합니다. 이는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억압된 현실에서 벗어나고픈 자유와 그리움, 인간적인 따뜻함에 대한 갈망이 담긴 시적 여정입니다346.

 

작품의 흥미로운 뒷이야기

이 시는 백석이 조선일보를 그만두고 함흥으로 떠나기 전, 마음을 정리하며 남쪽 지방을 여행한 경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실제로 ‘남행시초’ 연작은 창원, 통영, 고성, 삼천포 등 남쪽 지역을 배경으로 하며, 당대 교통 환경상 기차와 배, 도보로 이어지는 긴 여정의 체험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시 속 ‘덕거머리 총각’은 장가를 늦게 든 총각을 의미하며, 자신의 처지를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36.

 

영향력 분석

 

이 작품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창원도>는 일상의 소박한 행복, 자연과의 교감, 자유로운 삶에 대한 동경을 일깨워줍니다. 도시의 바쁜 삶 속에서 잠시 멈추고, 자연과 함께하는 여유와 인간적인 따뜻함을 떠올리게 합니다. 또한, 억압된 현실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떠남’과 ‘여행’이 주는 위로와 희망을 전합니다.

 

이 작품에게 영향을 받은 분야

  • 현대 한국시: 방언과 토속어, 구체적인 생활 언어의 시적 활용
  • 여행문학: 자연과 인간의 삶을 연결하는 서정적 여행 서사
  • 지역문화 연구: 1930년대 남부지방의 풍속, 정서, 생활상 재현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선정 및 답변 제공

Q) 백석의 <창원도>에서 ‘덕거머리 총각’은 무슨 뜻인가요?
A) ‘덕거머리 총각’은 머리를 땋아 늘어뜨린, 장가를 늦게 든 총각을 가리키는 평안도 방언입니다. 시인은 이 표현을 통해 자신의 외로운 처지와, 언젠가 ‘정든 님’을 업고 돌아오고 싶은 소망을 담아냈습니다6.

 

용어 및 배경 설명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솔포기: 소나무 숲의 작은 무리
  • 꿩, 토끼: 자연의 동물, 시골 풍경의 상징
  • 궤나리봇짐: 개나리 봇짐, 여행자가 어깨에 매는 짐
  • 따ㅅ불: 땅에 피우는 작은 불, 잠시 쉬며 피우는 불
  • 덕신덕신: 덩실덩실, 흥겹게 움직이는 모양
  • 덕거머리 총각: 머리를 땋아 늘어뜨린 장가 늦은 총각

 

시 제목의 의미 및 설명

  • 창원도(昌原道): ‘창원’(昌原)은 경상남도 창원 지역, ‘도’(道)는 길을 뜻합니다. 즉, ‘창원으로 가는 길’ 또는 ‘창원의 길’이라는 의미입니다.
    • 昌(창): 창성하다, 번성하다
    • 原(원): 들판, 평야
    • 道(도): 길

즉, ‘풍요로운 들판으로 향하는 길’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 link:

 

 

 

# ref.: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4368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