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궁중 음악 3

Poem) <정읍사(井邑詞)>

원문: (前腔)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어긔야 어강됴리/아으 다롱디리(後腔) 全져재 녀러신고요/어긔야 즌ᄃᆡ를 드ᄃᆡ욜셰라/어긔야 어강됴리(過篇) 어느이다 노코시라(金善調) 어긔야 내 가논ᄃᆡ 점그ᄅᆞᆯ셰라/어긔야 어강됴리(小葉) 아으 다롱디리   해석본: (전강) 달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시어/아, 멀리멀리 비추어 주소서/아, 어강됴리/아으 다롱디리(후강) 온 저자를 다니고 계신가요/아, 진 데를 밟을까 두렵습니다/아, 어강됴리(과편) 어디에 놓고 오시나요(금선조) 아, 내 가는 데 저물까 두렵습니다/아, 어강됴리(소엽) 아으 다롱디리   #perspectives 시 분석 및 비평정읍사는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로, 한글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노래 중 하나입니다12. 이 작품은..

Poem) <동동 (動動)>

본문:德덕으란 곰ᄇᆡ예 받ᄌᆞᆸ고  福복으란 림ᄇᆡ예 받ᄌᆞᆸ고  德덕이여 福복이라 호ᄂᆞᆯ  나ᅀᆞ라 오소ᅌᅵ다  아으 動동動동다리    正졍月월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ᄒᆞ논ᄃᆡ  누릿 가온ᄃᆡ 나곤  몸하 ᄒᆞ올로 녈셔  아으 動동動동다리    二ᅀᅵ月월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등ㅅ블 다호라  萬만人ᅀᅵᆫ 비취실 즈ᅀᅵ샷다  아으 動동動동다리    三삼月월 나며 開ᄀᆡᄒᆞᆫ  아으 滿만春츈 ᄃᆞᆯ욋고지여  ᄂᆞᄆᆡ 브롤 즈ᅀᅳᆯ  디녀 나샷다  아으 動동動동다리    四ᄉᆞ月월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錄록事ᄉᆞ니ᄆᆞᆫ  녯 나ᄅᆞᆯ 닛고신뎌  아으 動동動동다리    五오月월 五오日ᅀᅵᆯ애  아으 수릿날 아ᄎᆞᆷ 藥약은  즈믄 ᄒᆡᆯ 長댱存존ᄒᆞ샬  藥약이라 받ᄌᆞᆸ..

Poem) <가시리>: 사랑과 이별, 정치적 변용의 이야기

본문:가시리 가시리잇고 나ᄂᆞᆫ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셩ᄃᆡ)날러는 엇디 살라 ᄒᆞ고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셩ᄃᆡ)잡ᄉᆞ와 두어리마ᄂᆞᄂᆞᆫ선ᄒᆞ면 아니 올셰라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셩ᄃᆡ)셜온 님 보내ᄋᆞᆸ노니 나ᄂᆞᆫ가시ᄂᆞᆫ ᄃᆞᆺ 도셔 오쇼셔 나ᄂᆞᆫ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셩ᄃᆡ)   해석본: 가시리 가시렵니까 나는버리고 가시렵니까 나는위 증즐가 대평성대날더러 어찌 살라 하고버리고 가시렵니까 나는위 증즐가 대평성대잡아 두고 싶지만서운하면 아니 올까 두렵습니다위 증즐가 대평성대서러운 마음으로 임 보내 드리라니 나는가시는 즉시 돌아서서 오십시오. 나는위 증즐가 대평성대   #perspectives시 분석 및 비평'가시리'는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