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정지용, <향수>: 그리움의 고향, 잊을 수 없는 곳

sosohantry 2024. 10. 19. 10:49
반응형

정지용, <향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든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줏던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 앉아 도란도란거리는 곳,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노을이 지는 들판에 구불구불 흐르는 실개천이 있고, 한 소녀가 강가를 따라 걷고 있다. 왼쪽에는 얼룩무늬 소가 풀을 뜯고 있으며, 오른쪽에는 초가집과 볏단, 나무, 그리고 강가에 앉아 있는 노인이 보인다. 하늘에는 별이 떠 있고, 한 마리 새가 날고 있다. 평화롭고 목가적인 시골 풍경이 따뜻하게 그려져 있다.
고향의 노을빛과 황소

 

# perspectives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조사

정지용(鄭芝溶, 1902~1950)은 한국 현대시의 대표적인 시인입니다. 충북 옥천에서 태어나 일본 도쿄에서 유학하며 문학을 공부했습니다. 그는 섬세한 언어 감각과 서정적 이미지로 한국 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향수>, <유리창>, <고향> 등이 있습니다.
정지용은 자신의 시에 대해 "내 시는 내 마음의 고향을 그리는 그림과 같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자연에 대한 애정, 가족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시로 표현했습니다.

 

시인의 개인적 경험과 창작 과정

정지용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아픔 속에서 고향을 떠나 도시에서 생활해야 했습니다. 이 시 <향수>는 그가 어린 시절을 보낸 충북 옥천의 자연과 가족, 그리고 그리움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시인은 고향의 풍경, 가족의 모습, 자연의 소리와 냄새를 세밀하게 묘사하며,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라는 반복 구절로 고향에 대한 깊은 애착을 드러냅니다.

 

시 관련 뉴스 및 최신 정보 조사

<향수>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 중 하나로, 교과서에도 실려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 시를 바탕으로 한 음악(가곡)도 널리 불리고 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그림, 영상, 연극 등)으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정지용 탄생 120주년을 맞아 옥천에서 시비(詩碑) 제막식과 시 낭송회가 열렸습니다.

 

멀티미디어 자료(이미지, 비디오) 조사 및 설명

  • 이미지: 충북 옥천의 넓은 들판, 실개천, 황소, 이삭 줍는 농촌 풍경 등은 <향수>의 주요 이미지입니다.
  • 비디오: 유튜브 등에서 "정지용 향수 낭송" 또는 "향수 가곡"을 검색하면, 시 낭송 영상과 가곡 공연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음악: 작곡가 김희갑이 곡을 붙인 <향수> 가곡(테너 박인수, 바리톤 김동규 등)이 매우 유명합니다.

 

시의 역사적 배경

<향수>는 일제강점기(1910~1945)라는 암울한 시대에 쓰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도시나 해외로 이동해야 했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사회적으로도 크게 퍼져 있었습니다.
정지용 역시 일본 유학과 서울 생활을 하며 고향에 대한 향수를 깊이 느꼈고, 이를 시로 승화시켰습니다.

 

시의 문화적 배경

한국 농촌의 전통적인 풍경(들판, 실개천, 황소, 이삭 줍는 아내, 밤바람, 별, 까마귀 등)이 시에 등장합니다.
가족 중심의 삶, 자연과의 조화, 소박한 일상에 대한 애정이 한국적 정서로 녹아 있습니다.

 

이 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향수>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가족에 대한 사랑, 자연에 대한 애정을 일깨워줍니다.
현대인의 바쁜 삶 속에서 잊고 지내는 소중한 기억과 감정을 되살려 주며, 마음의 위로와 평안을 줍니다.

 

이 시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방식

이 시는 누구나 한 번쯤 느끼는 '그리움'이라는 감정을 보편적으로 표현합니다.
고향, 가족, 어린 시절의 추억 등은 시대와 세대를 넘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이 시의 영향력이 미친 분야

  • 문학: 한국 현대시의 대표작으로, 많은 시인과 작가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 음악: 가곡 <향수>로 재탄생하여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습니다.
  • 교육: 교과서에 실려 학생들에게 시의 아름다움과 감성을 가르치는 데 활용됩니다.
  • 예술: 그림, 연극, 영상 등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선정 및 답변 제공

Q) "향수"에서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A)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가족, 자연에 대한 사랑이 가장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시인은 고향의 소박한 풍경과 따뜻한 가족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잊고 지내는 소중한 가치를 일깨워줍니다.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실개천: 작은 시냇물, 개울
  • 해설피: 해가 질 무렵, 해가 기울어진 모습
  • 졸음에 겨운: 졸음이 가득한, 졸린
  • 함추름: 함부로, 아무렇게나
  • 도란도란: 조용히 정답게 이야기하는 소리

 

시 제목의 의미 및 설명

  • 향수(鄕愁)
    • 향(鄕): 고향, 태어난 곳, 자란 곳
    • 수(愁): 근심, 슬픔, 그리움
    • **향수(鄕愁)**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뜻합니다.

 

# link:

https://sosohantry.tistory.com/entry/Short-story-고향으로-가는-길

 

Short story) 고향으로 가는 길

서울 외곽의 작은 음악 카페에 앉아 있으면 마치 시간 속에서 길을 잃은 기분이 든다. 찬바람이 유리창에 닿을 때마다, 가을이 더 깊어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나는 커피잔

sosohantry.tistory.com

 

 

 

#ref.:

1927년 3월『조선지광』 65호에 발표

향수/향수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wikisource.org)

향수(시) - 나무위키 (namu.wiki)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