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군악(길軍樂)>
원본:
오도 하심심니 길군악(軍樂)이 야를 보자
에업다 이년아 말들러를 보아라
노오너니노노나니로니로니로너니노일이루니로니너니노오니노노너닐니나노노오너니노노
가소가소 네가소 네가도 못살냐
졍방(正方)산셩(山成) 북문(北門) 밧게 도라지구셔 이 도다온다
눈비찬비 찬이슬 맛고 홀노셧 로숑(老松)남기 을 일코셔 졔홀노라
각시(閣氏) 이리로 셔 못살냐
에업다 이년아 말들러를 보아라
(입타령 上同)
조고마 상좌(上佐)중이 보도(斧刀) 두루쳐메고
만쳡쳥산(萬疊靑山) 드러를 가셔 커다른 고양남글
이리로 고 져리로 고셔 졔홀노 어랴
각시 이리로 셔 못냐
에업다 이년아 말들러를 보아라
(입타령 上同)
에업다 이년아 말듯거라
네라들 한궁녀(漢宮女)며 라들 비군(非君子)랴
남의 이 너이며 남의 아들이 이랴
각시 이리로 셔 못냐
에업다 이년아 말들러를 보아라
(입타령 上同)
현대어 원본:
오늘도 하심심허니 길군악이나 허여를 보자
어이없다 이년아 말들어를 봐라 노우오나 너니나루
노우오나니 니루너이루너 이인니루나니나 루이히너 나니나루
노우오너니 나루노나 너니나니나루 노우오나 니나루 노나니나루노라
가소 가소 자네 가소 자네 가다 서 내 못 살냐
정방산성(正方山城) 북문(北門) 밖에 해돌아지고서 달이 돋아온다
눈비 찬비 찬이슬 맞고 홀로 섯는 노송(老松) 남기
짝을 잃고서 홀로 섯냐 내 각씨(閣氏) 이리로 허다서 내 못 살랴
어이없다 이년아 말들어를 봐라
조고마한 상좌(上佐)중이 부도(斧刀)채를 두루처 메고
만첩청산(萬叠靑山) 들어를 가서 크다라헌 고양 남글
이리로 찍고 저리로 찍어서 제 홀로 찍어내랴
내 각씨(閣氏) 이리 로허다서 내 못살랴
어이없다 이년아 말들어를 봐라 어엽다 이년아 말듣거라
네라헌들 한궁녀 (漢宮女)며 내라헌들 비군자(非君子)랴
남의 딸이 너뿐이며 남의 아들이 나뿐이랴
죽기 살기는 오날날로만 결단(決斷)을 허자
해석본:
오늘도 심심하니 길군악이나 해볼까
어이없는 아가씨야 내 말 들어보아라 (후렴)
가소롭구나, 당신이 가면 내가 살 수 없다네
정방산성 북문 밖에 해가 지고 달이 뜬다
눈비와 찬 이슬 맞으며 홀로 선 늙은 소나무
짝을 잃고 혼자 섰느냐, 내 아내여 이리 오면 내가 살지 않겠는가
어리석은 아가씨야 내 말 들어보아라
작은 스님이 도끼를 메고
깊은 산속에 들어가 큰 나무를
이리저리 찍어서 혼자 베어낼 수 있겠는가
내 아내여 이리 오면 내가 살지 않겠는가
어리석은 아가씨야 내 말 들어보아라, 예쁜 아가씨야 내 말 들어라
너라고 해서 한나라 궁녀이며 나라고 해서 군자가 아니겠는가
남의 딸이 너뿐이며 남의 아들이 나뿐이겠는가
죽고 사는 것은 오늘로 결단을 내리자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추가 정보
시 분석 및 비평:
길군악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12가사 중 하나로,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 그리고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19. 이 시는 민요적 색채가 강하며, 서민들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방산성과 같은 구체적인 지명을 언급하며 현실감을 더하고 있습니다7.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조사:
길군악은 작자 미상의 작품으로,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후대에 문헌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9.
시인의 개인적 경험과 창작 과정:
구체적인 창작 과정은 알 수 없으나, 당시 서민들의 일상적인 경험과 감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시 관련 뉴스 및 최신 정보 조사:
현재 길군악은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인 가사에 포함되어 있으며, 전문 국악인들에 의해 계승되고 있습니다8.
역사적 및 문화적 배경
시의 역사적 배경:
길군악은 조선 후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서민들의 생활상과 정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9.
그 당시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당시 한국인들에게 길군악은 일상의 애환을 달래는 노래로 인식되었을 것입니다. 특히 정방산성과 같은 실제 지명을 언급함으로써 친근감을 주었을 것입니다7.
현대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현대 한국인들에게 길군악은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과거 서민들의 삶과 정서를 이해하는 창구로 여겨집니다.
현대 미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미국인들에게 길군악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동양적인 정서와 표현 방식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영향력 분석
이 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길군악은 우리에게 전통 문화의 가치를 일깨우며, 과거 서민들의 삶과 정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
인간 관계의 복잡성과 삶의 무상함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시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방식:
구체적인 지명과 일상적인 표현을 통해 당시의 현실을 생생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시의 영향력은 어떤 분야에 어떻게 미쳤는가:
한국 전통 음악과 문학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 예술가들에게도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추가 정보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길군악(길軍樂): 길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일명 노요곡(路謠曲) 또는 군악(軍樂)이라고도 합니다9.
- 정방산성(正方山城): 황해도 황주에 있는 산성으로, 조선 시대에 축조되었습니다710.
시 제목의 의미 및 설명:
'길군악'이라는 제목은 길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이 시의 서두에 "길군악이나 허여를 보자"라는 구절에서 유래했습니다911.
길군악(길軍樂)의 가사 해석
길군악의 가사는 조선 시대 12가사 중 하나로, 민요적인 색채를 띠며 주로 서민들의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내포합니다:
- 일상과 심심함의 해소
"오늘도 하심심허니 길군악이나 허여를 보자"라는 첫 구절은 일상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노래를 부르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당시 서민들의 단조로운 삶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소박한 즐거움을 반영합니다16. - 입타령의 사용
중간에 반복되는 "노우오나니 나루너이루너"와 같은 입타령은 의미 없는 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가사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표현은 리듬감을 더하고, 단순히 노랫말보다는 음악적 흥취를 강조합니다46. - 삶의 고난과 사랑
늙은 소나무가 홀로 서 있는 모습이나 짝을 잃은 상황을 묘사하며, 인간 관계에서의 외로움과 고난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내 각씨 이리로 허다서 내 못 살랴"라는 구절에서 사랑하는 사람과의 재회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 드러납니다16. - 운명과 결단
마지막 부분에서는 "죽기 살기는 오날날로만 결단을 허자"라고 하여, 삶과 죽음의 순간적인 결단을 강조하며 인간 존재의 무상함을 나타냅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의 현실적이고 강렬한 삶의 태도를 보여줍니다16.
길군악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단순한 노래 이상의 철학적이고 감정적인 깊이를 전달하며, 조선 후기 서민들의 삶과 정서를 생생하게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link:
2025.03.18 - [문학 (Literature)] -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2가사의 정의와 특징12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 가사문학을 바탕으로 한 음악 형식으로, 현재 12곡이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주로 한문시형, 가사체 문장, 민요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osohantry.tistory.com
#ref.:
https://www.iha.go.kr/service/get_item_filedownload.ajax?item_rowid=87424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8517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536
'문학 (Literature) > 한국 시 (Korean Po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매화타령(梅花打令)> - 십이가사 (0) | 2025.03.18 |
---|---|
Poem) <권주가(勸酒歌)> - 십이가사 (2) | 2025.03.17 |
Poem) 이현보, <어부사(漁父詞)> - 십이가사 (0) | 2025.03.17 |
Poem) <처사가(處士歌)> - 십이가사 (1) | 2025.03.16 |
Poem) <양양가(襄陽歌)> - 십이가사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