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이현보, <어부사(漁父詞)> - 십이가사

sosohantry 2025. 3. 17. 14:51
반응형

이현보, <어부사(漁父詞)>

 

이현보, <어부단가(漁夫短歌)>

<제1수>
이 듕에 시름 업스니 어부(漁父)의 생애(生涯)이로다
일엽편주(一葉扁舟)를 만경파(萬頃波)애 워 두고
인세(人世)를 니젯거니 날 가 주를 알랴

<제2수>
구버 천심녹수(千尋綠水) 도라보니 만첩청산(萬疊靑山)
십장홍진(十丈紅塵)1)이 언매나 렛고
강호(江湖)애 월백(月白)거든 더옥 무심(無心)얘라

<제3수>
청하(靑荷)2)에 바 고 녹류(綠柳)3)에 고기 여
노적화총(蘆荻花叢)4)에  야 두고
일반청의미(一般淸意味)5)를 어 부니 아실고

<제4수>
산두(山頭)에 한운(閒雲)이 기(起)고 수중(水中)에 백구(白鷗)이 비(飛)이라
무심(無心)코 다정(多情)니 이 두 거시로다
일생(一生)에 시르믈 닛고 너를 조차 노르리라

<제5수>
장안(長安)을 도라보니 북궐(北闕)이 천리(千里)로다
어주(漁舟)에 누어신 니즌 스치 이시랴
두어라 내 시 아니라 제세현(濟世賢)이 업스랴

 


 

<어부단가(漁夫短歌)> 해석본

 

<제1수>
이 가운데 시름 없으니 어부의 삶이로다
작은 배 한 척을 넓은 바다에 띄워 두고
인간 세상을 잊었으니 세월 가는 줄을 알겠는가

 

<제2수>
굽어보니 깊고 푸른 물이요, 돌아보니 겹겹이 쌓인 푸른 산이라
열 길 높이의 속세 붉은 먼지가 얼마나 가려졌는가
강과 호수에 달빛이 밝으니 더욱 무심하여라

 

<제3수>
푸른 연잎에 밥을 싸고 푸른 버들에 물고기를 꿰어
갈대와 억새 꽃 사이에 배를 매어 두고
이 맑은 풍취를 어느 누가 알아주겠는가

 

<제4수>
산봉우리에 한가로운 구름이 피어나고 물 위로 갈매기가 날아다니네
무심하면서도 정이 많은 것은 이 두 가지로다
평생의 시름을 잊고 너희들과 함께 놀리라

 

<제5수>
서울을 돌아보니 궁궐이 천 리 밖이로다
어부의 배에 누워 있어도 임금을 잊은 적이 있겠는가
그만두어라, 내가 걱정할 바가 아니니 세상을 구할 현명한 이가 없겠는가

 


달빛이 밝게 비추는 호수 위에서 전통적인 한국 의상을 입은 인물이 작은 나룻배에 앉아 낚시를 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주변에는 푸른 산과 안개가 어우러져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물 위에는 연꽃과 연잎이 떠 있습니다. 하늘에는 학이 날고, 버드나무 가지가 화면 위쪽에서 늘어져 있습니다.
어부사-어부단가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추가 정보

어부사는 조선 중기 이현보(1467~1555)가 지은 시가로, 단가 5장과 장가 9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9. 이 작품은 고려 말에 창작된 <어부가>의 전통을 계승하여 재창작한 것으로, 강호에 사는 선비의 삶을 한가로이 낚시와 경치를 즐기는 어부의 모습에 빗대어 표현한 노래입니다8.

이현보는 기존의 <어부가>를 개작하면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시어를 바꾸거나 다른 장의 시행을 재배치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9. 특히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와 같은 후렴구를 사용하여 고려가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냈습니다8.

 

역사적 및 문화적 배경

어부사는 12가사 중 유일하게 저자와 창작연대가 알려진 노래로, 한국 가창 작품의 전승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입니다8. 이 작품은 18세기에 이미 널리 불렸다는 기록이 있으며, 여러 문헌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습니다8.

당시 한국인의 관점에서 볼 때, 어부사는 속세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한가로운 삶을 추구하는 선비들의 이상을 반영한 작품으로 여겨졌을 것입니다. 현대 한국인들에게는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함께, 바쁜 현대 생활 속에서 잃어버린 여유와 자연과의 조화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현대적 변환

어부사의 현대적 해석:
"흰 머리의 노인 어부가 포구에 살며
물가 생활이 산속 생활보다 낫다고 말하네
배를 띄워보세, 배를 띄워보세
아침 물이 빠지자 저녁 물이 밀려오네
노 젓는 소리에 맞춰 노래하니
배에 기대어 앉은 어부의 한쪽 어깨가 높아지네"

 

영향력 분석

어부사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1.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2. 바쁜 현대 생활 속에서 잃어버린 여유와 평화를 되찾게 해줍니다.
  3. 전통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됩니다.

어부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

  • 물질적 성공보다는 정신적 풍요로움의 가치를 깨닫게 됩니다.
  •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소소한 행복을 발견하게 됩니다.

어부사의 영향력:

  • 문학: 후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어 자연 친화적인 작품 창작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음악: 전통 음악의 한 장르로 발전하여 국악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했습니다.
  • 문화: 한국의 전통적인 미의식과 자연관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추가 정보

핵심 용어 설명:

  • 어부사(漁父詞): 어부의 생활을 노래한 시가
  • 단가(短歌): 짧은 형식의 노래
  • 장가(長歌): 긴 형식의 노래
  • 지국총 지국총: 노 젓는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

시 제목의 의미:
"어부사(漁父詞)"는 "어부의 노래" 또는 "어부에 대한 시"라는 뜻으로, 작품의 내용과 주제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제목입니다.

 


이현보의 어부사와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비교

이현보의 어부사와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는 모두 어부의 삶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은일의 삶을 노래한 작품이지만, 그 표현 방식과 내용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창작 배경과 시대적 맥락

이현보의 어부사

  • 16세기에 창작됨
  • 당쟁이 있었던 혼탁한 정치적 상황
  • 강호에 있으면서도 정치 현실을 완전히 망각하지 못함3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 17세기 초에 창작됨
  • 사림의 정치적 승리 이후, 이념의 도덕적 변별 가치가 약화된 시기
  • 정치적 투쟁에 혐오감을 가진 사대부들에 의해 창작됨3

 

표현 방식과 스타일

이현보의 어부사

  • 한문에 토를 단 듯 딱딱한 표현
  • 지나친 자연미에 대한 탄성이나 감흥을 스스로 억제3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나타냄
  • 자연의 아름다움과 흥취를 더 자유롭게 표현3

 

내용과 주제

이현보의 어부사

  • 은일적, 도피적 태도로 어부의 생활을 동경3
  • 강호자연에 노니는 한가한 '흥'을 노래하면서도 현실과의 단절을 완전히 추구하지 않음1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 어부의 생활을 더 사실적으로 그려 현실감이 뛰어남
  • 자연의 아름다움과 넉넉한 삶을 누리는 심미적 공간과 흥취의 공간을 노래3
  • 도학과 관련짓지 않은 '서정으로서의 흥'을 표현2

 

구성과 형식

이현보의 어부사

  • 단가 5장과 장가 9장으로 구성1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 춘·하·추·동 각 10수씩 총 40수로 구성
  • 각 작품마다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는 여음 삽입1

 

이현보의 어부사가 정치 현실을 완전히 잊지 못하는 복잡한 심경을 담고 있다면,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는 자연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더 자유롭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이는 두 시인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개인적 성향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link:

2025.03.18 - [문학 (Literature)] -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2가사의 정의와 특징12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 가사문학을 바탕으로 한 음악 형식으로, 현재 12곡이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주로 한문시형, 가사체 문장, 민요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osohantry.tistory.com

 

 

 

#ref.:

https://www.gugak.go.kr/ency/topic/view/299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98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