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sosohantry 2025. 3. 18. 15:54
반응형

12가사의 정의와 특징

12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 가사문학을 바탕으로 한 음악 형식으로, 현재 12곡이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주로 한문시형, 가사체 문장, 민요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곡과 시조와 유사한 발성으로 노래됩니다256. 12가사는 인간 이별, 자연, 사랑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주로 계면조(界面調)와 같은 음계를 사용합니다35.

 

12가사의 구성

12가사는 다음과 같은 12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백구사(白鷗詞)
  • 춘면곡(春眠曲)
  • 상사별곡(相思別曲)
  • 죽지사(竹枝詞)
  • 황계사(黃鷄詞)
  • 수양산가(首陽山歌)
  • 양양가(襄陽歌)
  • 처사가(處士歌)
  • 어부사(漁父詞)
  • 길군악(行軍樂)
  • 권주가(勸酒歌)
  • 매화타령(梅花打令)46.

 

음악적 특징

12가사는 주로 6박자 장단과 5박자 장단을 사용하며, 특히 상사별곡, 처사가, 양양가는 5박자 리듬을 가지고 있습니다23. 가사의 창법은 속청이 많이 사용되며, 전성법, 퇴성법, 요성법 등 다양한 성법을 활용합니다2.

 

역사적 배경

12가사는 조선 중종 이후 선조 시기에 무르익어 향토적인 가락에 옮겨졌으며, 주로 중류 이상의 선비들에 의해 연주되었습니다3. 1971년에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국가무형유산으로 전승되고 있습니다2.

 

전승과 보유자

20세기에는 하규일과 임기준 같은 가객들이 12가사의 전통을 이어갔으며, 하규일은 '하규일 전창 8가사', 임기준은 '임기준 전창 4가사'로 구분됩니다5. 현재는 이양교와 정경태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있습니다2.

12가사의 영향과 의미

12가사는 조선시대의 문화와 음악적 전통을 잘 보여주는 예로, 현대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자연과 인간의 감정을 깊이 담고 있어, 시대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감동을 전달합니다. 또한, 12가사는 한국 전통 음악의 중요한 일부로, 다양한 음악적 요소와 창법을 통해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대적 관점에서 본 12가사

현대에는 12가사가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고 재창조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가사 음악을 현대적인 스타일로 변형하거나, 다른 장르와 결합하여 새로운 음악적 실험을 시도하는 예가 많습니다. 이러한 시도들은 12가사의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인의 감성을 충족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각 곡의 요약

  1. 백구사(白鷗詞)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황종(E♭) 평조 (솔선법)
  2. 춘면곡(春眠曲)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중려(A♭) 평조
    • 봄날의 남녀 만남, 이별, 그리움을 표현11
  3. 상사별곡(相思別曲)
    • 5박 장단 사용
    • 황종(E♭) 평조 (솔선법)
    •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상사류 가사의 전형8
  4. 죽지사(竹枝詞)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황종(E♭) 평조 (솔선법)
  5. 황계사(黃鷄詞)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황종(E♭) 평조 (솔선법)
  6. 수양산가(首陽山歌)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레(re)선법, 서도소리 음계에 가까움
  7. 양양가(襄陽歌)
    • 5박 장단 사용
    • 레(re)선법, 서도소리 음계에 가까움
  8. 처사가(處士歌)
    • 5박 장단 사용
    • 레(re)선법, 서도소리 음계에 가까움
  9. 어부사(漁父詞)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중려(A♭) 평조
    • 가장 먼저 생긴 곡으로, 고려 말에 지어져 조선 시대에 개작됨15
  10. 길군악(行軍樂)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전반부는 솔(sol)선법, 후반부는 도(do)선법
  11. 권주가(勸酒歌)
    • 일정한 장단 없이 자유리듬으로 노래
    • 황종(E♭) 평조 (솔선법)
  12. 매화타령(梅花打令)
    • 6박 도드리장단 사용
    • 남려(C) 계면조 (라선법)

12가사는 전통적인 가사보다 길이가 짧고, 대부분 계면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단조로운 가락의 반복이 많고, 가곡 남창과 달리 세청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1315.

 


계면조란 무엇인가요?

계면조는 한국 전통음악에서 사용되는 주요 악조 중 하나로, 슬프고 애타는 느낌을 주는 음악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14.

계면조의 구성과 특징

  1. 음계 구성:
    • 원래 계면조는 '라-도-레-미-솔'의 5음 음계로 구성되었습니다10.
    • 현재는 주로 3음 또는 4음 음계로 변화되어 사용됩니다12.
  2. 음정 관계:
    • 으뜸음과 둘째 음: 단3도
    • 둘째 음과 셋째 음: 장2도
    • 셋째 음과 넷째 음: 장2도
    • 넷째 음과 다섯째 음: 단3도
    • 다섯째 음과 으뜸음: 장2도10
  3. 주요 특징:
    • 황종(黃)·중려(仲)·임종(林)의 3음이 주가 되어 3음계적 기능이 강합니다12.
    • 임종(B♭)에서 중려(A♭)로 퇴성하는 것이 계면조의 특징적인 표현입니다9.

계면조의 역사적 변천

  1. 조선 전기: 『악학궤범』에서 향악의 대표적 악조로 설명됨10.
  2. 17세기 초: 『양금신보』에서 평조와 함께 두 가지 주요 조로 나타남10.
  3. 18세기 이전: 5음 음계의 라선법 원형 유지10.
  4. 19세기 이후: 3음 또는 4음 음계로 변화1015.

계면조의 사용

계면조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전통음악 장르에서 사용됩니다:

  • 영산회상
  • 가곡계면조
  • 가사
  • 시조
  • 판소리계면조
  • 남도민요12

계면조의 정서적 특성

계면조는 듣는 이로 하여금 슬픈 느낌이 들게 하는 음조직입니다. 이익(李瀷)은 《성호사설》에서 "계면이라는 것은 듣는 자가 눈물을 흘려 그 눈물이 얼굴에 금을 긋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8.

계면조는 한국 전통음악의 정서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서양음악의 단조와 유사한 느낌을 주지만 고유의 음악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A serene scene depicting a traditional Korean musical performance in a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 setting. Musicians dressed in hanbok (traditional Korean attire) are playing various traditional instruments, including a gayageum, geomungo, janggu, and piri. A man stands at the center holding a book and a fan, possibly leading the performance or reciting poetry. The background features a picturesque landscape with blooming cherry blossoms, a calm river, and a pavilion under a blue sky, evoking a peaceful and cultural atmosphere.
12가사

 
 
백구사(白鷗詞)
2025.03.1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백구사(白鷗詞)>

 

Poem) <백구사(白鷗詞)>

원문: 나지마라 너 잡을 내 아니로다성상(聖上)이 버리시니 너를 쫓아 예 왔노라오류춘광(五柳春光) 경(景) 좋은데백마금편화류(白馬金鞭花遊)가자운침벽계(雲沈碧溪) 화홍유록(花紅柳

sosohantry.tistory.com

 
춘면곡(春眠曲)
2025.03.1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춘면곡(春眠曲)>

 

Poem) <춘면곡(春眠曲)>

춘면곡(春眠曲)> 원문: 춘면(春眠)을 느즛 깨야 죽창(竹窓)을 반개(半開)하니 [봄잠을 늦게 깨어 죽창(대로 살을 만든 창문)을 반쯤 여니]庭花(정화)는 灼灼(작작)한데 가난 나뷔 머므난듯 [뜰의

sosohantry.tistory.com

 
상사별곡(相思別曲)
2025.03.14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상사별곡(相思別曲)>

 

Poem) <상사별곡(相思別曲)>

원문: 人間離別 萬事中에 獨守空方이 더욱 섧다. 相思不見이 眞  情을 게누라셔 알회. 미친셔홈 이렁저령이라 흐트어진 근심  다 후리쳐 더져두고 자냐깨나 임을 못보니 가삼

sosohantry.tistory.com

 
죽지사(竹枝詞)
2025.03.1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죽지사(竹枝詞)>

 

Poem) <죽지사(竹枝詞)>

원문:1乾坤(건곤)이 不老月長在(불로월장재)하니  寂寞江山(적막강산) 今百年(금백년)이라  어이오이이오이히오이아에  一心情念(일심정념)은 極樂(극락)  나하무하하무아 阿彌像(아미

sosohantry.tistory.com

 
황계사(黃鷄詞)
2025.03.1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황계사(黃鷄詞)>

 

Poem) <황계사(黃鷄詞)>

원문: 일조랑군(一朝郞君) 이별(離別)후(後)에소식(消息)조차 돈절(頓絶)하다어허야아자 좋을시고일정(一定)자내가 아니오던가어허야아자 좋을시고춘수(春水)는 만사택(滿四澤)하니물이 

sosohantry.tistory.com

 
수양산가(首陽山歌)
2025.03.1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수양산가(首陽山歌)>

 

Poem) <수양산가(首陽山歌)>

원본: 수양산(首陽山)에 고사리를 꺾어위수빈(渭水濱)에 고기를 낚아의적(儀狄)의 빚은 술 이태백(李太白) 밝은 달이등왕각(勝王閣) 높은 집에 장건(張騫)이 승사(乘槎)하고달맞이 가

sosohantry.tistory.com

 
양양가(襄陽歌)
2025.03.1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양양가(襄陽歌)>

 

Poem) <양양가(襄陽歌)>

해석본:석양이 이미 현산 서쪽으로 넘어가려 하는데흰 모자를 거꾸로 쓰고 꽃나무 아래에서 어릿어릿하네양양의 어린이들이 손뼉을 치며거리를 막고 백동제란 동요를 다투어 노래하네옆 사람

sosohantry.tistory.com

 
처사가(處士歌)
2025.03.1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처사가(處士歌)>

 

Poem) <처사가(處士歌)>

원문: 천생아재(天生我才) 쓸데없어 세상공명(世上功名)을 하직(下直)하고양한수명(養閒守命)하여 운림처사(雲林處士) 되오리라구승갈포(九升葛布) 몸에 걸고 삼절죽장(三節竹杖) 손에 

sosohantry.tistory.com

 
어부사(漁父詞)
2025.03.1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현보, <어부사(漁父詞)>

 

Poem) 이현보, <어부사(漁父詞)>

이현보,  이현보, 이 듕에 시름 업스니 어부(漁父)의 생애(生涯)이로다일엽편주(一葉扁舟)를 만경파(萬頃波)애 워 두고인세(人世)를 니젯거니 날 가 주를 알랴구버 천심녹수(千

sosohantry.tistory.com

 
길군악(行軍樂)
2025.03.1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길군악(길軍樂)>

 

Poem) <길군악(길軍樂)>

원본: 오늘도 하심심허니 길군악이나 허여를 보자어이없다 이년아 말들어를 봐라 노우오나 너니나루노우오나니 니루너이루너 이인니루나니나 루이히너 나니나루노우오너니 나루노

sosohantry.tistory.com

 
권주가(勸酒歌)
2025.03.1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권주가(勸酒歌)> - 12가사

 

Poem) <권주가(勸酒歌)> - 12가사

원문:불로초(不老草)로 슐을 비져 만년(萬年盃)에 가득부어잡으신 잔(盞)마다 비이다남샨수(南山壽)를 이잔곳 잡으시면 만수무강(萬壽無疆)오리다약산동(藥山東臺) 어즈러진바

sosohantry.tistory.com

 
매화타령(梅花打令)
2025.03.1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매화타령(梅花打令)

 

Poem) <매화타령(梅花打令)>

원문:매화(梅花) 녯등걸에 봄절(節)이 도 돌아온다녯 퓌던가 가지마다 퓌염즉도 하다마는춘설(春雪)이 란분분(亂紛紛)니 퓔지말지 다마는북경(北京)가는 역역관(驛驛官)드라 당사(

sosohant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