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김소월, <초혼>

sosohantry 2024. 11. 8. 00:14

<초혼>
 
산산히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초혼

 

#perspectives
## 시대적 배경
이 시는 일제강점기에 쓰여졌습니다.

## 당시 한국인의 관점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개인적 슬픔의 표현
- 일제 강점기 하에서 잃어버린 조국에 대한 그리움의 은유
- 전통적인 한의 정서와 민족 정신의 표현

"산산히 부서진 이름이여!"라는 구절은 잃어버린 조국이나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절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는 끝없는 그리움과 절망감을 나타냅니다.

## 현대 한국인의 관점
- 상실감과 그리움의 보편적 감정 표현
- 한국 전통 문화와 정서의 아름다운 표현
- 사랑과 이별에 대한 깊은 성찰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와 같은 구절은 한국의 전통적인 자연 이미지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여겨집니다.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는 한국인의 정서를 잘 나타내는 표현으로 인식됩니다.

## 미국인들의 관점
- 보편적 인간 감정의 강렬한 표현
- 동양적 이미지와 문화의 독특한 표현
- 사랑과 상실에 대한 철학적 고찰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와 같은 구절은 자연과 인간 감정의 조화를 나타내는 동양적 표현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는 사랑의 영원성과 변치 않는 마음을 표현하는 강렬한 이미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시의 특징
1. 반복과 영탄: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와 같은 구절의 반복은 화자의 감정을 강조합니다.
2. 자연 이미지: 서산, 사슴, 해 등의 자연 이미지를 통해 화자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3. 전통적 의식 차용: '초혼'이라는 전통 의식을 통해 화자의 그리움과 슬픔을 표현합니다.
4. 점진적 감정 고조: 시가 진행될수록 화자의 감정이 점점 고조되는 구조를 가집니다.

"초혼"은 개인의 슬픔과 그리움을 넘어 민족의 정서와 인간 보편의 감정을 아우르는 작품으로, 시대와 문화를 초월하는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시입니다. 이 시는 한국 현대시의 대표작으로서 문학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change
## 현대적 해석: 그리운 이름

산산조각 난 이름이여!
공중에서 흩어진 이름이여!
아무리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 지쳐 죽을 것만 같은 이름이여!

마음속에 남아있는 말 한마디
끝내 하지 못했네.
사랑하는 그대여!
사랑하는 그대여!

붉은 해가 서쪽 산에 걸렸어.
사슴들도 슬피 우는구나.
멀리 떨어진 산 위에 앉아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고 있어.

슬픔에 겹겹이 쌓여 부르고 있어.
슬픔에 겹겹이 쌓여 부르고 있어.
내 목소리는 허공을 맴돌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나 멀어.

이대로 서서 돌이 되어도
부르다 지쳐 죽을 것만 같은 이름이여!
사랑하는 그대여!
사랑하는 그대여!

 

#link:
https://sosohantry.tistory.com/entry/Short-story-초혼의-메아리

 

Short story) 초혼의 메아리

#1장: 검색창의 메아리 (서울 네이버 본사) 2030년의 서울은 현실과 디지털이 경계를 넘나드는 도시로 변모해 있었다. 고층 빌딩들 사이에서 푸른 홀로그램 광고들이 떠오르고, 자율주행 자동차는

sosohantry.tistory.com

 
 
 
#ref.:
1925년 《개벽》 제6권 제11호에 발표
https://namu.wiki/w/%EC%B4%88%ED%98%B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