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백석, <고방>: 고향의 기억, 가족의 온기

sosohantry 2025. 4. 23. 22:44
반응형

백석, <고방>

 

원문:

 

<고방>


낡은 질동이에는 갈 줄 모르는 늙은 집난이같이 송구떡이 오래도록 남어 있었다

오지항아리에는 삼춘이 밥보다 좋아하는 찹쌀탁주가 있어서
참춘의 임내를 내어 가며 나와 사춘은 시큼털털한 술을 자도 채어 먹었다

제삿날이면 귀먹어리 할아버지가예서 왕밤을 밝고 싸리 꼬치에 두부 산적을 께었다

손자아이들이 파리 떼같이 뫃이면 곰의 발 같은 손을 언제나 내어 둘렀다

구석의 나무 말쿠지에 할아버지가 삼는 소신 같은 집신이 둑둑이 걸리어도 있었다

녯말이 사는 컴컴한 고방의 쌀독 뒤에서 나는 저녁끼 때에 불으는 소리를 듣고도 못 들은 척하였다.


 

---

현대어 변환 시도:

 

<고방>

 

낡은 질그릇에는 떠날 줄 모르는 늙은 딸처럼 송기떡이 오래도록 남아 있었다.

오지 항아리에는 삼촌이 밥보다 더 좋아하는 찹쌀 막걸리가 있어서
삼촌의 술 냄새를 풍기며 나와 사촌은 시큼하고 텁텁한 술을 몰래 퍼마셨다.

제삿날이면 귀가 잘 안 들리는 할아버지가
여기서 밤을 까고, 싸리나무 꼬치에 두부 산적을 꿰셨다.

손자들이 파리떼처럼 몰려들면,
곰발바닥 같은 손으로 언제나 우리를 감싸 안으셨다.

구석의 나무 못에는 할아버지가 신던 짚신이 여러 켤레 걸려 있었다.

옛날 이야기가 살아 있는 어두운 고방의 쌀독 뒤에서
나는 저녁밥 먹으라는 소리를 듣고도 못 들은 척했다.


수채화 스타일의 그림으로, 어두운 고방 안 따뜻한 햇살이 비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중앙에는 오지항아리가 놓여 있고, 그 앞에는 찹쌀탁주가 담긴 그릇과 송구떡이 담긴 바구니, 두부 산적이 놓인 나무꼬치가 자리하고 있다. 왼쪽에는 묶음 마늘과 촛불이 켜진 촛대가 있으며, 오른편 벽면에는 짚신 하나가 나무 못에 걸려 있다. 배경에는 창문을 통해 부드러운 자연광이 들어와 고방 내부의 따스하고 소박한 분위기를 강조한다.
고방

 

# perspectives

 

작가와 작품 분석

 

작가의 삶

백석(白石, 1912~?)은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일본 동경 청산학원에서 영어를 공부했습니다. 그는 일제강점기라는 격동의 시대에 살면서도, 고향 평안도의 풍습과 사람들, 그리고 자신의 어린 시절을 진솔하게 시에 담아냈습니다. 백석은 평안도 방언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토속적 세계관과 향토적 정서를 현대적 감각으로 그려낸 시인으로 평가받습니다24.

 

작품의 정서, 상황, 시대적 배경

<고방>은 백석의 대표 시집 『사슴』에 실린 작품으로, 시골집의 '고방'(광, 창고)을 배경으로 가족의 일상과 추억, 그리고 따뜻한 정을 담고 있습니다. 시인은 낡은 질동이에 남은 송구떡, 오지항아리의 찹쌀탁주, 제삿날의 두부 산적, 할아버지의 곰발 같은 손, 구석의 짚신 등 구체적인 사물과 풍경을 통해 어린 시절의 소박하고 정겨운 가족 공동체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냅니다14.

이 시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상실과 소외의 감정을 극복하고자 고향의 풍경과 가족의 따뜻함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저녁끼 때에 부르는 소리를 듣고도 못 들은 척하였다'는 마지막 구절은, 어린 시절의 장난기와 동시에 가족의 사랑을 더 오래 곁에 두고 싶어하는 마음을 보여줍니다34.

 

작품의 흥미로운 뒷이야기

시의 첫 구절에서 '갈 줄 모르는 늙은 집난이 같이 송구떡이 오래도록 남어 있었다'는 표현이 있는데, 여기서 '집난이'는 시집간 딸이 친정에 머무르는 상황을 뜻합니다. 송구떡처럼 집에 오래 남아 있는 딸의 사연이 은유적으로 담겨 있어, 가족 내의 미묘한 정서와 사연을 짐작하게 합니다34.

또한, 백석의 시에는 음식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그가 유년 시절 산골에서 느꼈던 유일한 기쁨이 먹는 것과 가족의 정에 있었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고방>을 비롯해 그의 여러 시에는 다양한 음식이 등장하며, 이는 독자에게 향토적이고 인간적인 따뜻함을 전합니다1.

 

영향력 분석

 

이 작품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고방>은 현대인에게 잊혀가는 가족의 정, 고향의 따스함, 어린 시절의 소박한 행복을 상기시켜 줍니다. 각박한 현실 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공동체의 온기와 추억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며, 일상 속 사소한 것들에서 의미와 위로를 찾게 합니다15.

 

이 작품에게 영향을 받은 분야

  • 한국 현대시에서 향토적 정서와 방언, 음식, 가족 공동체의 따뜻함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한국 문학의 민중적 정서, 상실된 고향의식 회복, 전통문화의 긍정적 재해석에 기여했습니다25.
  • 현대 에세이, 드라마, 영화 등에서도 백석의 시적 세계관과 정서가 자주 인용되고 재해석됩니다.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선정 및 답변 제공

Q) '고방'에서 가장 중요한 상징은 무엇인가요?
A) '고방' 자체가 가족의 추억과 정, 그리고 사라져가는 고향의 풍경을 상징합니다. 시에 등장하는 송구떡, 찹쌀탁주, 두부산적, 짚신 등은 모두 가족과 공동체의 따뜻한 일상과 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사물입니다14.

Q) 백석 시에 음식이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A) 백석은 유년 시절 산골에서 먹을거리가 유일한 기쁨이었고, 음식은 가족의 정과 공동체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래서 그의 시에는 음식이 자주 등장하며, 이를 통해 인간적인 따뜻함과 향토적 정서를 전합니다15.

 

용어 및 배경 설명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고방(庫房): 곡식, 음식, 세간 등을 보관하는 창고나 방. '광'의 방언적 표현34.
  • 질동이: 곡식이나 음식을 담는 큰 그릇(항아리)1.
  • 집난이: 시집간 딸이 친정에 머무르는 상황, 또는 그런 딸을 일컫는 말34.
  • 송구떡(송기떡): 멥쌀가루에 소나무 속껍질을 섞어 만든 떡. 예전에는 먹을 것이 부족할 때 만들어 먹던 음식4.
  • 오지항아리: 질그릇으로 만든 항아리, 주로 술이나 음식을 담음1.
  • 찹쌀탁주: 찹쌀로 빚은 전통 막걸리1.
  • 두부산적: 두부를 꼬치에 꿰어 구운 음식, 제사상에 올리는 산적1.
  • 말쿠지: 벽에 박아 옷이나 물건을 거는 나무못4.
  • 소신: 짚신의 평안도 방언1.
  • 둑둑이: '둑이'는 10개를 의미, '둑둑이'는 많이 있다는 뜻4.

 

 


# link:

 

 

 

# ref.: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4368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