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수양산가(首陽山歌)> - 십이가사

sosohantry 2025. 3. 15. 19:53
반응형

<수양산가(首陽山歌)>

 

원문:

수양산(首陽山)에 고사리고 위수빈(渭水濱)에 고기를 낙가
의적(儀狄)의 비즌 슐 리태(李太白)밝은달이 등왕각(藤王閣)놉흔집에
장건(張騫)이 승(乘槎)고 달구경가말명을 청하자

바람불고 눈비오랴지 동녁을 바라보니
자미봉자각봉(紫微峯紫閣峯)과 쳥쳥(淸淸)밝은달 벽수운(碧樹白雲)이
층층방곡(層層坊曲)에 졀노감을 휜들휘휘들

네이로이노 노네니나 비루하고나 이고 네로나 일나로 나로이 하고네 에이 나네니나노 니 나노 노너니나

목왕(穆王)은 텬(天子)로 요지(瑤池)에 연락(宴樂)고
항우(項羽)는 장(壯士)로 만영추월(灣營秋月)에 비가강(悲歌慷慨)고
명황(明皇)은 영주(英主)로 양귀비리별후(楊貴妃離別後)에 마외역(馬嵬驛)에 울엇나니
벽당쳥풍월(寒碧堂淸風月)에 만고텬하영웅쥰걸(萬古天下英雄俊傑)이오
오날갓치 조코조흔날만나 안이놀고 무엇을 하쟈느냐

 


현대어 원본:

 

수양산(首陽山)에 고사리를 꺾어
위수빈(渭水濱)에 고기를 낚아
의적(儀狄)의 빚은 술 이태백(李太白) 밝은 달이
등왕각(勝王閣) 높은 집에 장건(張騫)이 승사(乘槎)하고
달맞이 가는 말명을 청하자

바람 불고 눈비 오랴는가 동녘(東城)을 바라보니
자미봉(紫薇峰) 자각봉(紫閣峰)과 좌우(左右) 청천(晴天) 밝은 달
벽수백운(碧樹白雲)이 층층(層層) 방곡(坊曲)에 절로 감을
흰들 휘 흰들 네로 니네로
노노니 나너루더루허고 바루이루해요 네로나니
나로아로니루허고 네루레니너니나노 느니
나느니나노느니나 노너니나

목왕(穆王)은 천자(天子)로되 요지(瑤池)에 연락(宴樂)허고
항우(項羽)는 장사(壯士)로되 비가강개(悲歌慷慨) 허고
명황(明皇)은 영주(英主)로되 양귀비(楊貴妃) 이별후(離別後)에
마외역(馬嵬驛)에 울엇느니 한벽당(寒碧堂) 청풍월(淸風月)에
만고천하(萬古天下) 영웅준걸(英雄俊傑)이 안저
오날같이 좋고 좋흔날 만나 아니 놀고 무엇일을 허자느니

 


해석본:

 

수양산에 고사리를 꺾어 위수가에서 고기 낚아
의적이 빚은 술 이태백 밝은 달이 등왕각 높은 집에
장건이 뗏목을 타고 달구경 가는 말미를 청하자
바람 불고 눈비 오려는가 동녘을 바라보니
자미봉 자각봉이 저절로 맑아 밝은 달이 푸른 하늘에 흐니
구름이 마을 마을마다 절로 가며 흰들흰들
노노니 나너루더루허고 바루이루해요 네로나니
나로아로니루허고 네루레니너니나노 느니
나느니나노느니나 노너니나
목왕은 천자지만 요지의 잔치에서 즐기고
항우는 천하장사이지만 진영 가득히 비친 가을 달빛에 탄식하며 슬피 노래하고
명황은 뛰어난 군주이지만 양귀비와 이별한 후 마외역에서 울었나니
한벽당의 맑은 바람과 달빛에 아득한 역사 속의 영웅과 호걸들이 앉아
오늘같이 좋고 좋은 날 만났으니 아니 놀고 무슨 일을 하겠느냐

 

 


풍성한 달빛 아래 펼쳐진 전통 동양 풍경화. 그림은 푸른 산과 계곡, 흐르는 강, 그리고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중앙에는 전통적인 정자가 강 위에 위치해 있으며, 주변에는 소나무와 꽃이 만발한 정원이 있습니다. 왼쪽에는 한옥 스타일의 건물에서 사람들이 모여 음식을 나누며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전통 의상을 입은 여인들이 자연을 감상하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보입니다. 강 위에서는 나룻배를 젓는 사람과 물놀이를 즐기는 이들이 보이며, 하늘에는 새들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평화롭고 목가적인 분위기가 강조된 작품입니다.
수양산가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추가 정보

시 분석 및 비평:
수양산가는 12가사 중 하나로, 백이숙제의 고사를 시작으로 중국 고사를 차례로 열거한 후 오늘을 즐기자는 내용으로 마무리되는 노래입니다10. 이 작품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박 도드리장단으로 노래합니다10.

시의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백이숙제 이야기와 달구경 가자는 내용 (1-2장)
  2. 자연 묘사와 입타령 (3-4장)
  3. 중국 역사 속 인물들의 이야기와 현재의 즐거움 (5-6장)

이 시는 중국의 역사적 인물들과 고사를 언급하면서도, 결국은 현재의 순간을 즐기자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는 인생의 무상함을 인식하면서도 현재의 즐거움을 놓치지 말자는 삶의 태도를 반영합니다.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조사:
수양산가의 정확한 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작품은 19세기 중후반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민속악적 요소가 많이 포함된 노래입니다10.

 

시 관련 뉴스 및 최신 정보 조사:
수양산가는 현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1971년 지정)10. 이는 이 작품의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은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역사적 및 문화적 배경

시의 역사적 배경:
수양산가는 19세기 중후반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10. 이 시기는 조선 후기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문학에서도 새로운 형식과 내용이 등장하던 때입니다.

 

그 당시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당시 한국인들에게 이 노래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지식을 과시하면서도, 현재의 삶을 즐기자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입니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서 "오늘같이 좋고 좋은 날 만나 아니 놀고 무엇 일을 하겠느냐"라는 구절은 당대 사람들의 삶의 태도를 반영합니다.


현대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현대 한국인들에게 수양산가는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함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옛 선조들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하고, 동시에 현재를 즐기는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습니다.

 

현대 미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미국인들에게 수양산가는 한국의 전통 문화와 역사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작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특히 동양의 역사적 인물들과 고사를 언급하면서도 보편적인 인생의 즐거움을 노래하는 점에서, 문화적 차이를 넘어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대적 변환

수양산에서 고사리 따고, 위수 강가에서 물고기 잡아
옛 술과 밝은 달을 벗 삼아, 높은 누각에서 뗏목 타고 달구경 가자 하네
바람 불고 비 올 것 같은데, 동쪽 하늘 바라보니
자미봉과 자각봉이 맑게 빛나고, 밝은 달이 구름 사이로 비치네
흰 구름이 마을마다 절로 흘러가며 흰들흰들
노노니 나너루더루허고 바루이루해요 네로나니
나로아로니루허고 네루레니너니나노 느니
나느니나노느니나 노너니나
위대한 왕들도, 강한 장수들도, 뛰어난 군주들도
결국엔 슬픔과 이별을 겪었다네
한벽당의 맑은 바람과 달빛 아래
옛 영웅들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이 좋은 날, 우리도 함께 모여 즐기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

 

영향력 분석

이 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수양산가는 우리에게 현재의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즐기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과거의 위대한 인물들도 결국 인생의 무상함을 겪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지금 이 순간의 가치를 일깨워줍니다.

 

이 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

  1.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개인의 삶은 덧없을 수 있지만, 그 순간의 아름다움과 즐거움은 영원할 수 있다.
  2.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사의 무상함을 대비시켜 삶의 균형을 찾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3. 과거의 교훈을 배우되, 현재에 집중하고 즐기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이 시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방식:
수양산가는 역사적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무상함을 보여주면서도, 현재의 즐거움을 강조합니다. 이는 현실 세계에서 우리가 과거의 교훈을 배우면서도 현재에 충실해야 한다는 삶의 지혜를 반영합니다.

 

이 시의 영향력:
수양산가는 한국 전통 음악과 문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연주되고 감상되는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10.

 

추가 정보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수양산(首陽山): 중국 산서성에 있는 산으로, 백이숙제의 고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 위수빈(渭水濱): 중국 섬서성을 흐르는 위수 강의 강가를 의미합니다.
  • 의적(儀狄): 중국 고대의 술을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태백(李太白):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입니다.
  • 등왕각(滕王閣): 중국 강서성 남창시에 있는 유명한 누각입니다.
  • 장건(張騫): 한나라 때의 외교관으로, 서역 개척에 공을 세웠습니다.

 

시 제목의 의미 및 설명:
"수양산가(首陽山歌)"는 "수양산의 노래"라는 뜻입니다. 수양산은 중국의 백이숙제 고사와 관련된 장소로, 이 노래가 수양산의 이야기로 시작되기 때문에 이런 제목이 붙었습니다.

 

 

아래 시의 일부분은 무슨 뜻인가요?

```

노노니 나너루더루허고 바루이루해요 네로나니
나로아로니루허고 네루레니너니나노 느니
나느니나노느니나 노너니나

```

 

이 부분은 수양산가의 입타령 부분입니다1. 입타령은 의미 없는 음절을 반복하여 부르는 노래의 한 부분으로, 주로 리듬과 멜로디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양산가는 12가사 중 하나로,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2. 이 입타령 부분은 수양산가의 3장과 4장 사이에 위치하며, 노래의 분위기를 전환하고 청중의 흥을 돋우는 역할을 합니다.

입타령은 가사의 의미보다는 소리의 리듬과 운율에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특징은 한국 전통 음악의 즉흥성과 구비전승의 특성을 잘 보여줍니다. 또한 이는 가사의 부분창 특성을 드러내는 요소 중 하나로, 전체 노래를 부르지 않고 일부분만 선택적으로 부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5.

이러한 입타령은 수양산가뿐만 아니라 다른 전통 가사나 판소리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요소로, 한국 전통 음악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link:

2025.03.18 - [문학 (Literature)] -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2가사의 정의와 특징12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 가사문학을 바탕으로 한 음악 형식으로, 현재 12곡이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주로 한문시형, 가사체 문장, 민요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osohantry.tistory.com

 

 

 

#ref.:

https://www.iha.go.kr/service/get_item_filedownload.ajax?item_rowid=87424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54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