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

List) 향가 목록

sosohantry 2025. 2. 27. 12:06
반응형

향가(鄕歌)는 삼국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신라와 통일신라의 고유한 정서를 담아 향찰(鄕札)이라는 독특한 표기법으로 기록된 한국 고유의 노래입니다. 현존하는 향가는 25수로, 그 중 14수가 《삼국유사》에, 11수가 《균여전》에 전해지고 있습니다.

향가의 형식은 크게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뉩니다. 제시된 목록의 향가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서동요 (薯童謠): 4구체 향가로,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서동(후의 백제 무왕)이 신라 선화공주와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 만든 노래입니다. 

2025.02.19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백제 무왕, <서동요>

 

Poem) 백제 무왕, <서동요>

백제 무왕,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시집 가서  서동이를  밤이면 안고 간다.    #perspectives서동요의 역사적 배경서동요는 백제 무왕(武王) 시대인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으

sosohantry.tistory.com

 

 

혜성가 (彗星歌): 10구체 향가로, 승려 융천사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혜성의 출현과 왜구의 침입을 막는 주술적 성격을 지닙니다.

2025.02.24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융천사, <혜성가 (彗星歌)>

 

Poem) 융천사, <혜성가 (彗星歌)>

융천사,양주동의 해석 : 옛날 동해 물가 건달바가놀던 성을 바라보고,왜군이 왔다,횃불을 올린 변방이 있어라.세 화랑의 산 구경 오심을 듣고달도 부지런히 등불을 켜는데,길 쓸 별을 바라보고,

sosohantry.tistory.com

 

풍요 (風謠): 4구체 향가로, 민중의 소리를 담은 민요적 성격의 노래입니다. 공덕을 닦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025.02.24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풍요(風謠)>

 

Poem) <풍요(風謠)>

양주동 해석, 오다 오다 오다오다, 서럽더라서럽다, 우리들이여공덕 닦으러 오다   #perspectives풍요(風謠)는 신라 시대의 향가 중 하나로, 역사적, 문학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작품

sosohantry.tistory.com

 

원왕생가 (願往生歌): 10구체 향가로, 극락왕생에 대한 염원을 담은 불교적 성격의 노래입니다.

2025.02.2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광덕, <원왕생가 (願往生歌)>

 

Poem) 광덕, <원왕생가 (願往生歌)>

광덕, 원왕생가 (願往生歌)>月下伊底亦西方念丁去賜里遣無量壽佛前乃惱叱古音多可支白遣賜立誓音深史隐尊衣希仰支兩手集刀花乎白良願往生願往生慕人有如白遣賜立阿邪此身遺也置遣四十八

sosohantry.tistory.com

 

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8구체 향가로, 화랑인 '죽지랑'을 추모하고 사모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025.02.2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득오, <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Poem) 득오, <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득오, 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원문: 去隐春皆理米毛冬居叱沙哭屋尸以憂音阿冬音乃叱好支賜烏隐皃史年數就音墮支行齊目煙廻於尸七史伊衣逢烏支惡知作乎下是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

sosohantry.tistory.com

 

헌화가 (獻花歌): 4구체 향가로, 견우노옹이 절벽 위의 꽃을 꺾어 수로부인에게 바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025.02.2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견우노인, <헌화가 (獻花歌)>

 

Poem) 견우노인, <헌화가 (獻花歌)>

견우노인,   원문: 紫布岩乎邊希執音乎手母牛放敎遣吾肹不喩慚肹伊賜等花肹折叱可獻乎理音如   양주동 해석: 자줏빛 바위 가에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꽃을

sosohantry.tistory.com

 

원가 (怨歌): 8구체 향가로, 승려 신충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인의 서정을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2025.02.2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신충, <원가 (怨歌)>

 

Poem) 신충, <원가 (怨歌)>

신충, 원문:物叱好支栢史秋察尸不冬爾屋攴墮米汝於多攴行齊敎因隱仰頓隱面矣改衣賜乎隱冬矣也月羅理影攴古理因淵之叱行尸浪阿叱沙矣以攴如攴皃史沙叱望阿乃世理都之叱逸烏隱第也 양주

sosohantry.tistory.com

 

도솔가 (兜率歌): 4구체 향가로, 월명사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륵신앙을 바탕으로 한 작품입니다.

2025.02.2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월명사, <도솔가(兜率歌)>

 

Poem) 월명사, <도솔가(兜率歌)>

월명사, 본문:  今日此矣散花唱良  巴寶白乎隱花良汝隱  直等隱心音矣命叱使以惡只  彌勒座主陪立羅良  해석본:  오늘 이에 산화 불러  뿌린 꽃이여 너는  곧은 마음의 명 받아

sosohantry.tistory.com

 

안민가 (安民歌): 충담사가 지은 향가로, 백성들을 잘 다스리기 위한 정치적 지침을 담고 있습니다.

2025.02.2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충담사(忠談師), <안민가(安民歌)>

 

Poem) 충담사(忠談師), <안민가(安民歌)>

충담사(忠談師),   본문: 君隐父也臣隐愛賜尸母史也民焉狂尸恨阿孩古為賜尸知民是愛尸知古如窟理叱大肹生以支所音物生此肹喰惡支治良羅此地肹捨遣只於冬是去於丁為尸知國惡支持以支知

sosohantry.tistory.com

 

제망매가 (祭亡妹歌): 월명사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죽은 누이를 위한 간절한 기도와 애틋한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2025.02.2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월명사, <제망매가(祭亡妹歌)>

 

Poem) 월명사, <제망매가(祭亡妹歌)>

월명사, 본문: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肸伊遣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阿也 彌陀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

sosohantry.tistory.com

 

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 기파랑이라는 인물에 대한 찬양을 담은 향가입니다.

2025.02.2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충담사,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Poem) 충담사,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충담사,  본문: 咽嗚爾處米露曉邪隐月羅理白雲音逐于浮去隐安支下沙是八陵隐汀理也中耆郞矣皃史是史藪邪逸烏川理叱磧惡希郞也持以支如賜烏隐心未際叱肹逐內良齊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雪

sosohantry.tistory.com

 

도천수관음가 (禱千手觀音歌): 관음신앙을 바탕으로 한 향가입니다.

2025.02.2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희명,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Poem) 희명,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희명,  본문:膝肹古召袂二尸掌音毛乎支內良千手觀音叱前良中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千隱手□叱千隱目肹一等下叱放一等肹除惡支二于萬隱吾羅一等沙隱賜以古只內乎叱等邪阿邪也吾良遺知支

sosohantry.tistory.com

 

우적가 (遇賊歌): 선불교의 양면적 정신원리를 반영하여 숭고미와 희극미를 동시에 구현한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2025.02.2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영재, <우적가 (遇賊歌)>

 

Poem) 영재, <우적가 (遇賊歌)>

영재,  본문:自矣心米 兒史毛達只將來呑隱日遠鳥逸○○過出知遣今呑藪未去遣省如但非乎隱焉破○主次弗○史內於都還於尸朗也此兵物叱沙過乎護好尸曰沙也內乎呑尼阿耶 唯只伊吾音之叱恨隱

sosohantry.tistory.com

 



향가는 불교사상, 주술적 요소, 개인의 서정 등 다양한 주제와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한국 문학사에서 가장 오래된 서정시 갈래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닙니다.

 

향가를 지어 볼까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