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시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며, 다양한 시대별로 특징적인 작품들이 존재합니다. 이 시기에 창작된 주요 시들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초기
-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1447년에 출판된 이 시는 조선 왕조의 성립을 신성한 천명으로 설명하며, 125장으로 구성된 대서사시입니다. 이는 한글로 처음 쓰여진 책으로, 조선 초기의 문학적 성과를 보여줍니다34.
중기
- 이 몸이 주거 가셔 (성삼문): 성삼문이 쓴 시로,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 동지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 황진이의 시조로, 깊은 감정과 아름다운 자연을 묘사합니다5.
- 청산은 내 뜻이오 (황진이): 황진이의 또 다른 시조로, 자신의 뜻과 삶의 방향을 표현합니다5.
-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이황): 이황이 쓴 시로, 자연과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습니다.
- 사미인곡 (思美人曲) (정철): 정철의 시로,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속미인곡 (續思美人曲) (정철): 정철의 또 다른 시로, 사랑의 연속성을 묘사합니다.
- 성산별곡 (星山別曲) (정철): 정철의 시로, 별빛 아래에서의 이별과 그리움을 담고 있습니다.
- 장진주사 (將進酒辭) (정철): 정철의 시로, 술을 권하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 훈민가 (訓民歌) (정철): 정철이 한글 창제를 기념하여 쓴 시로, 한글의 가치를 노래합니다.
- 고산구곡가 (高山九曲歌) (이이): 이이가 쓴 시로, 자연과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습니다.
후기
-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윤선도): 윤선도가 쓴 시로, 어부의 삶과 계절의 변화를 묘사합니다.
- 견회요 (遣懷謠) (윤선도): 윤선도의 시로, 그리움과 추억을 담고 있습니다.
- 만흥 (漫興) (윤선도): 윤선도가 쓴 시로, 자연 속에서의 자유로운 감정을 표현합니다.
- 오우가 (五友歌) (윤선도): 윤선도가 쓴 시로, 다섯 가지 우정을 노래합니다.
- 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정학유): 정학유가 쓴 시로, 농가의 월별 생활을 묘사합니다.
이러한 시들은 조선시대의 문화적, 철학적 배경을 반영하며, 당시의 문학적 성과를 보여줍니다.

## 조선시대
## 초기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2025.03.0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Poem)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해석본 : 제1장해동의 여섯 용이 나시어 일마다 하늘의 복이니 옛 성인들과 같으니제2장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리므로 꽃 좋고 열매 많나니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sosohantry.tistory.com
## 중기
이 몸이 주거 가셔 (성삼문)
2025.03.0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성삼문, <이 몸이 주거 가셔>
Poem) 성삼문, <이 몸이 주거 가셔>
성삼문, 원문: 이 몸이 주거가셔 무어시 될고하니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어야 이셔백설이 만건곤 할 제 독야청청하리라 해석본: 내 몸이 죽어서 무엇이 될까 생각하니,봉래산의 가
sosohantry.tistory.com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
2025.03.0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황진이, <동짓달 기나긴 밤을>
Poem) 황진이, <동짓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 원문:冬至ᄉᄃᆞᆯ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해석본: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sosohantry.tistory.com
청산은 내 뜻이오 (황진이)
2025.03.0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황진이, <청산은 내 뜻이오>
Poem) 황진이, <청산은 내 뜻이오>
황진이, 원문:靑山은내ᄯᅳᆺ이오綠水ᄂᆞᆫ님의情이綠水흘너간들 靑山이냐 變ᄒᆞᆯ손가綠水도靑山을못니져우러예어가ᄂᆞᆫ고 해석본:푸른 산은 내 뜻이오, 푸른 물은 임의 마음이로
sosohantry.tistory.com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이황)
2025.03.0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황,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Poem) 이황,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이황, 원문: 이런ᄃᆞᆯ엇더ᄒᆞ며뎌런ᄃᆞᆯ엇다ᄒᆞ료草野愚生이이러타엇더ᄒᆞ료ᄒᆞᄆᆞᆯ려泉石膏肓을고텨므슴ᄒᆞ료煙霞로지블삼고風月로바들사마太平聖代예病오로늘거가뇌이튱
sosohantry.tistory.com
사미인곡 (思美人曲) (정철)
2025.03.0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Poem)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정철, 원문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ᄒᆞᆫᄉᆡᆼ 緣分(연분)이며 하ᄂᆞᆯ 모ᄅᆞᆯ 일이런가.나 ᄒᆞ나 졈어 닛고 님 ᄒᆞ나 날 괴시니,이 ᄆᆞ음 이 ᄉᆞ랑 견
sosohantry.tistory.com
속미인곡 (續思美人曲) (정철)
2025.03.0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철, <속미인곡 (續思美人曲)>
Poem) 정철, <속미인곡 (續思美人曲)>
정철, 원문 :뎨 가ᄂᆞᆫ 뎌 각시 본 듯도 ᄒᆞᆫ뎌이고天텬上샹白ᄇᆡᆨ玉옥京경을 엇디ᄒᆞ야 離니別별ᄒᆞ고ᄒᆡ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러 가시ᄂᆞᆫ고어와 네여이고 내
sosohantry.tistory.com
성산별곡 (星山別曲) (정철)
2025.03.0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철, <성산별곡(星山別曲)>
Poem) 정철, <성산별곡(星山別曲)>
정철, 원문:엇던 디날 손이 星山(성산)의 머믈며셔棲霞堂(서하당) 息影亭(식영정) 主人(주인)아 내 말 듯소人生(인생) 世間(세간)의 됴흔 일 하건마ᄂᆞᆫ엇디ᄒᆞᆫ 江山(강산)을 가
sosohantry.tistory.com
장진주사 (將進酒辭) (정철)
2025.03.0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철, <장진주사(將進酒辭)>
Poem) 정철, <장진주사(將進酒辭)>
정철, 원문: 한 잔 먹새근여 또 한 잔 먹새근여,곳것거 산(算)노코 무진무진 먹새근여,이몸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 덥허 주리혀 매여 가나,류소보장(流蘇寶帳)의 만인이 울러녜나,억새 속새
sosohantry.tistory.com
훈민가 (訓民歌) (정철)
2025.03.0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철, <훈민가(訓民歌)>
Poem) 정철, <훈민가(訓民歌)>
정철, 원문: 제1수: 부의모자(父義母慈)아바님 날 나흐시고 아마님 날 기ᄅᆞ시니두 분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시랴하ᄂᆞᆯ ᄀᆞᄐᆞᆫ ᄀᆞ 업ᄉᆞᆫ 은덕을 어ᄃᆡ 다혀 갑ᄉᆞ오리제2수:
sosohantry.tistory.com
고산구곡가 (高山九曲歌) (이이)
2025.03.0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이,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Poem) 이이,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이이, 번역본: 서곡고산의 아홉 굽이 도는 계곡의 아름다움을 사람들이 모르더니풀을 베고 터를 잡아 집을 짓고 사니 벗님네 모두들 찾아오는구나.아, 무이산에서 후학을 가르친 주자를
sosohantry.tistory.com
## 후기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윤선도)
2025.03.0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Poem)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윤선도, 원문:春츈압개예안개것고뒫뫼희ᄒᆡ비췬다ᄇᆡ떠라ᄇᆡ떠라밤믈은거의디고낟믈이미러온다至지匊국忩총至지匊국忩총於어思ᄉᆞ卧와江강村촌온갓고지먼빗치더옥됴타날이덥도다
sosohantry.tistory.com
견회요 (遣懷謠) (윤선도)
2025.03.0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윤선도, <견회요(遣懷謠)>
Poem) 윤선도, <견회요(遣懷謠)>
윤선도, 원문: 슬프나즐거오나올타ᄒᆞ나외다ᄒᆞ나내몸의ᄒᆡ올일만닫고닫글뿐이언뎡그받긔녀나믄일이야분별ᄒᆞᆯ줄이시랴내일망녕된줄을내라ᄒᆞ야모ᄅᆞᆯ손가이ᄆᆞᄋᆞᆷ어리기
sosohantry.tistory.com
만흥 (漫興) (윤선도)
2025.03.09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윤선도, <만흥(漫興)>
Poem) 윤선도, <만흥(漫興)>
윤선도, 해석본: 산수간 바위 아래 띠집을 짓노라하니그 모르는 남들은 웃는다 한다마는어리석고 향암의 뜻에는 내 분인가 하노라 보리밥 풋나물을 알맞게 먹은 후에바위끝 물
sosohantry.tistory.com
오우가 (五友歌) (윤선도)
2025.03.09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윤선도, <오우가 (五友歌)>
Poem) 윤선도, <오우가 (五友歌)>
윤선도, 원문:내 버디 몃치나 ᄒᆞ니 水슈石셕과 松숑竹듁이라東동山산의 ᄃᆞᆯ 오르니 긔 더옥 반갑고
sosohantry.tistory.com
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정학유)
2025.03.09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학유, <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Poem) 정학유, <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정학유, 원문: 序歌 (머릿노래)천지(天地) 조판(肇判)하매 일월성신 비치거다.일월은 도수있고 성신은 전차있어일년 삼백 육십일에 제 도수 돌아오매동지․하지․춘․추분은 일행(日行)을 추
sosohantry.tistory.com
'문학 (Liter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st) 기행가사 목록: 시대의 반영과 감정의 표현 (1) | 2025.04.05 |
---|---|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 | 2025.03.18 |
List) 고려가요 목록 (0) | 2025.03.04 |
List) 향가 목록 (1) | 2025.02.27 |
List) 한국의 고대 가요 목록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