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

List) 고려가요 목록

sosohantry 2025. 3. 4. 00:31
반응형

고려가요

고려가요는 고려 시대에 창작되어 민간에서 널리 불리던 노래입니다15. 고려속요 또는 여요라고도 불립니다35.

 

특징

 

형식

  • 여러 개의 연 또는 절로 나뉘는 분연체 구조를 가집니다34.
  • 대체로 3음보의 율격을 보입니다34.
  • 각 연마다 후렴구가 붙습니다3.

 

내용

  • 남녀 간의 사랑, 이별의 슬픔, 삶의 애환, 부모에 대한 효 등 평민들의 솔직한 감정을 노래합니다4.
  •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3.

 

전승과 기록

  • 원래 구전으로 전승되다가 한글 창제 이후에 문자로 기록되었습니다3.
  •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실려 전해집니다5.

 

주요 작품

고려가요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애정 주제: 〈만전춘〉, 〈가시리〉, 〈서경별곡〉, 〈쌍화점〉, 〈이상곡〉, 〈정석가〉5
  2. 신의 주제: 〈도이장가〉, 〈정과정〉5
  3. 자연 주제: 〈청산별곡〉5

 

의의

고려가요는 평민들의 자유롭고 진솔한 감정을 담아낸 문학 작품으로, 당시 사회의 모습과 서민들의 정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6. 그러나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유교적 가치관과 충돌하여 '남녀상열지사'(남녀가 서로 좋아하는 노래)라는 이유로 탄압을 받기도 했습니다36.

 

목록

 

청산별곡 (靑山別曲)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로, 8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청산(푸른 산)과 바다를 배경으로 삶의 비애와 고뇌를 노래합니다. 화자가 청산에 살겠다고 하는 것은 현실 도피적 성격을 띠며, 고통스러운 삶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망을 표현합니다16. 3음보 율격과 후렴구를 가진 전형적인 고려가요의 형식을 보여줍니다6.

2025.02.2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청산별곡(靑山別曲)>

 

Poem) <청산별곡(靑山別曲)>

본문: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멀위랑 ᄃᆞ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널라와 

sosohantry.tistory.com

 

 

서경별곡 (西京別曲)
서경(평양)을 배경으로 한 고려가요로, 임과 이별하는 여인의 슬픈 심정을 노래합니다. 다른 고려가요와 달리 화자가 적극적으로 임을 따라가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뱃사공을 원망하는 등 독특한 감정 표현이 특징입니다89. 3음보 율격과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라는 후렴구를 가집니다9.

2025.02.2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서경별곡(西京別曲)>

 

Poem) <서경별곡(西京別曲)>

본문: 西京이 아즐가 西京이 셔울히 마르는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닷곤 ᄃᆡ 아즐가 닷곤 ᄃᆡ 쇼셩경 고ᄋᆈ마른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여ᄒᆡ므론 아즐가 여ᄒᆡ므론 질삼

sosohantry.tistory.com

 

 

가시리
임과의 이별을 슬퍼하는 여인의 마음을 노래한 고려가요입니다. "가시리 가시리잇고"라는 구절로 시작하며, 간결하면서도 애절한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7.

2025.02.28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가시리>

 

Poem) <가시리>

본문:가시리 가시리잇고 나ᄂᆞᆫ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셩ᄃᆡ)날러는 엇디 살라 ᄒᆞ고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셩ᄃ

sosohantry.tistory.com

 

 

동동 (動動)
12달의 세시풍속을 노래한 고려가요로, 각 달의 특징적인 모습을 통해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합니다5.

2025.03.01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동동 (動動)>

 

Poem) <동동 (動動)>

본문:德덕으란 곰ᄇᆡ예 받ᄌᆞᆸ고  福복으란 림ᄇᆡ예 받ᄌᆞᆸ고  德덕이여 福복이라 호ᄂᆞᆯ  나ᅀᆞ라 오소ᅌᅵ다  아으 動동動동다리    正졍月월ㅅ 나릿 므른  아으 

sosohantry.tistory.com

 

 

쌍화점 (雙花店)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고려가요로, 쌍화점이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합니다5.

2025.03.01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쌍화점>

 

Poem) <쌍화점>

해석본: 쌍화점에 쌍화 사러 갔더니만회회인 아비 내 손목을 쥐더이다이 소문이 이 가게 밖에 나고들면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새끼 광대 네 말이라 하리라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

sosohantry.tistory.com

 

 

사모곡 (思母曲)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고려가요입니다5.

2025.03.02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사모곡 (思母曲)>

 

Poem) <사모곡 (思母曲)>

해석본: 호미도 날이긴 하다마는  낫같이 잘 들리도 없어라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둥셩  어머님 같이 아끼실 리 없어라  아아 임이여 어머님 같이  아끼실 리 

sosohantry.tistory.com

 

 

이상곡 (履霜曲)
서리를 밟는다는 뜻의 제목을 가진 고려가요로,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합니다5.

2025.03.02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상곡 (履霜曲)>

 

Poem) <이상곡 (履霜曲)>

본문:비오다가 개야 아 눈하 디신 다래서린 석석사리 조ᄇᆞᆫ 곱도신 길헤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두너즈세 너우지잠 ᄯᅡ간 내 니믈 너겨깃ᄃᆞᆫ 열명 길헤 자라오리잇가죵죵 벽력ᄉᆡᆼ함

sosohantry.tistory.com

 

 

처용가 (處容歌)
신라 때부터 전해오는 노래로, 처용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궁중 음악으로 편입되어 불렸습니다5.

2025.03.0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처용가 (處容歌)>

 

Poem) <처용가 (處容歌)>

향가 본문:東京明期月良夜入伊遊行如可入良沙寢矣見昆脚烏伊四是良羅二兮隱吾下於叱古二兮隱誰支下焉古本矣吾下是如馬於隱奪叱良乙何如爲理古   양주동 해석본: ᄉᆡᄫᆞᆯ ᄇᆞᆯ긔 

sosohantry.tistory.com

 

 

정읍사 (井邑詞)
전라북도 정읍을 배경으로 한 고려가요로,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의 마음을 노래합니다5.

2025.03.0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읍사(井邑詞)>

 

Poem) <정읍사(井邑詞)>

원문: (前腔)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어긔야 어강됴리/아으 다롱디리(後腔) 全져재 녀러신고요/어긔야 즌ᄃᆡ를 드ᄃᆡ욜셰라/어긔야 어강됴리(過篇) 어느이다 노

sosohantry.tistory.com

 

 

정과정곡 (鄭瓜亭曲)
정과정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담은 고려가요입니다5.

2025.03.0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서(鄭敍), <정과정곡(鄭瓜亭曲)>

 

Poem) 정서(鄭敍), <정과정곡(鄭瓜亭曲)>

정서(鄭敍),  원문: (前腔) 내님믈 그리ᅀᆞ와 우니다니(中腔) 山 졉동새 난 이슷ᄒᆞ요이다(後腔) 아니시며 거츠르신ᄃᆞᆯ 아으(附葉) 殘月曉星이 아ᄅᆞ시리이다(大葉) 넉시라도 님은 ᄒᆞᆫ

sosohantry.tistory.com

 

 

정석가 (鄭石歌)
정석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노래한 고려가요로,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합니다5.

2025.03.0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석가(鄭石歌)>

 

Poem) <정석가(鄭石歌)>

원문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션왕셩ᄃᆡ(先王聖代)예 노니ᄋᆞ와지이다.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ᄂᆞᆫ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ᄂᆞᆫ구은 

sosohantry.tistory.com

 

 

도이장가 (悼二將歌)
두 장수의 죽음을 애도하는 내용의 고려가요입니다5.

2025.03.0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예종, <도이장가(悼二將歌)>

 

Poem) 예종, <도이장가(悼二將歌)>

예종,  원문 :主乙完乎白乎  心聞際天乙及昆   魂是去賜矣中  三烏賜敎職麻又欲  望彌阿里刺  及彼可二功臣良  久乃直隱  跡烏隱現乎賜丁양주동 해석본 :니믈 오ᄋᆞ로ᄉᆞᆯᄫ

sosohantry.tistory.com

 


A watercolor painting depicts a young Korean woman in traditional hanbok standing by a peaceful river at sunset. The background features soft hills, a quiet village with tiled rooftops, and a gentle breeze stirring the trees. The woman's expression is wistful as she looks across the river, evoking themes of longing and nostalgia.
고려가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