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계사(黃鷄詞)>
원문:
일조랑군(一朝郞君) 이별(離別)후(後)에
소식(消息)조차 돈절(頓絶)하다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일정(一定)자내가 아니오던가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춘수(春水)는 만사택(滿四澤)하니
물이 깊어 못 오던가
하운(夏雲)이 다기봉(多奇峰)하니
산이 높아 못 오던가
어대를 가보고
날아니 와서보고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병풍(屛風)에 그린황계(黃鷄)
두 나래를 둥둥치며
사경일점(四更一点)에 날새라고
꼬끼요울거든 오려는가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저달아보느냐 님계신데
명기(明氣)를빌리렴 나도보게
너는죽어 황하수(黃河水)되고
나는죽어 돛대선되여
밤이나 낮이나 낮이나 밤이나
어화둥실 떠서노세
어하야아자 좋을시고
한곳을 들어가니
륙관대사(六觀大師)제자 성진(性眞)이는
팔선녀(八仙女)를 희롱(戱弄)한다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죽관사립(竹冠簑笠) 저껴쓰고
십리사정(十里沙汀) 나려가니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옥용(玉容)이적막(寂寞) 루란간(淚攔干)하니
리화일지(梨花一枝) 춘대우(春帶雨)라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좋을좋을 좋은경을
얼사좋다 경이로다
해석본:
하루아침에 낭군과 이별한 후에
소식조차 끊어졌네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정말로 자네가 오지 않는 건가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봄물이 사방의 못에 가득 차니
물이 깊어 오지 못하는가
여름 구름이 기이한 봉우리 되어
산이 높아 오지 못하는가
어디를 가보고
나를 찾아오지 않는 건가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병풍에 그려진 황계(수탉)가
두 날개를 펄럭이며
사경 일점(새벽 1시 24분경)에 날이 샐 거라고
꼬끼오 울거든 오려는가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저 달아 보고 있느냐 임이 계신 곳에
밝은 기운을 빌려다오 나도 보게
너는 죽어 황하수가 되고
나는 죽어 돛대배가 되어
밤이나 낮이나 낮이나 밤이나
어화둥실 떠서 놀자
어하야아자 좋을시고
한곳을 들어가니
육관대사의 제자 성진이
팔선녀를 희롱하고 있네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대나무 갓과 도롱이를 걸쳐 쓰고
십 리 모래톱을 내려가니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옥 같은 얼굴이 적막하여 눈물이 난간에 흐르니
배꽃 한 가지에 봄비 내리는 듯하구나
어허야아자 좋을시고
좋을좋을 좋은 경치를
얼씨구 좋다 경치로다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추가 정보
시 분석 및 비평
황계사는 조선 시대에 불린 십이 가사(十二歌詞) 중 하나로, 임과의 이별 후 그리움과 재회에 대한 소망을 노래한 작품입니다57. 이 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반복과 병렬 구조를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화자의 정서를 강조합니다5.
- '어허야아자 좋을시고'라는 후렴구를 통해 노래로서의 특성을 드러냅니다.
- 실현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하여 임과의 재회 가능성이 희박함을 인식하고 있습니다5.
- 다양한 표현 방법(과장, 해학 등)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5.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조사
황계사는 작자 미상의 작품으로, 시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시인의 개인적 경험과 창작 과정
작자 미상이기 때문에 시인의 개인적 경험이나 창작 과정에 대한 정보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 시는 여러 갈래의 기존 작품에서 청중에게 익숙한 표현을 조합하여 노랫말을 구성한 것이 특징입니다5.
시 관련 뉴스 및 최신 정보 조사
현재 황계사와 관련된 최신 뉴스나 정보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멀티미디어 자료(이미지, 비디오) 조사 및 설명
황계사에 대한 해설 영상이 YouTube에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황계사의 내용과 의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및 문화적 배경
시의 역사적 배경
황계사는 조선 시대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시기는 사대부 문화가 발달하고 시가 문학이 꽃피던 때였습니다1.
그 당시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당시 한국인들에게 이 시는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에 대한 소망을 표현한 대중적인 노래로 받아들여졌을 것입니다. 특히 익숙한 표현과 통속적 유흥성은 청중들의 공감을 얻었을 것입니다5.
현대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현대 한국인들에게 황계사는 고전 문학의 한 작품으로 인식되며,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에 대한 소망이라는 보편적 정서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해석됩니다710.
현대 미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미국인들에게 황계사는 한국의 전통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소개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과 그리움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현대적 변환
시를 읽기 쉽게 현대적 버전으로 변환
하루아침에 당신과 헤어진 후
연락조차 끊겼어요
아, 정말 슬프네요
정말로 당신이 오지 않는 건가요?
아, 너무나 슬픕니다
봄물이 사방에 가득 차서
물이 깊어 오지 못하나요?
여름 구름이 산봉우리를 덮어
산이 높아 오지 못하나요?
어디를 가셨길래
나를 찾아오지 않나요?
아, 정말 슬프네요
병풍에 그려진 수탉이
날개를 펄럭이며
새벽에 날이 밝는다고
울면 그때 오실 건가요?
아, 너무나 슬픕니다
달아, 보고 있나요? 사랑하는 이가 있는 곳에
밝은 빛을 빌려주세요, 나도 보고 싶어요
당신은 강물이 되고
나는 배가 되어
밤낮으로 함께 떠다니며 놀아요
아, 얼마나 좋을까요
영향력 분석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
- 이 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 시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과 그리움이라는 보편적인 감정을 다루고 있어, 현대인들에게도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또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삶의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킵니다. - 이 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은 무엇인가?
이 시를 통해 우리는 사랑의 가치와 인내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또한 현실에서 불가능한 일이라도 상상력을 통해 극복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볼 수 있습니다. - 이 시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방식은 어떠한가?
이 시는 당시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이별의 상황과 그에 따른 정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연 현상을 통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은 한국 전통 시가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 이 시의 영향력은 어떤 분야에 어떻게 미쳤는가?
황계사는 한국 전통 문학, 특히 가사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또한 현대 문학과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이별과 그리움을 주제로 한 많은 작품들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선정 및 답변
Q: 황계사의 '황계'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 '황계'는 '누런 닭' 또는 '수탉'을 의미합니다. 이 시에서는 병풍에 그려진 수탉이 실제로 울 수 없듯이, 임과의 재회가 불가능함을 암시하는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5.
Q: 황계사의 주제는 무엇인가요?
A: 황계사의 주제는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과 기다림'입니다. 화자는 임과의 이별 후 재회를 간절히 바라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있습니다57.
추가 정보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돈절(頓絶): 갑자기 끊어짐
- 만사택(滿四澤): 사방의 못에 가득 참
- 다기봉(多奇峰): 기이한 봉우리가 많음
- 사경일점(四更一点): 새벽 1시 24분경
- 황하수(黃河水): 중국의 황하강
시 제목의 의미 및 설명
'황계사(黃鷄詞)'는 '누런 닭의 노래'라는 뜻입니다. 이 제목은 시의 내용 중 병풍에 그려진 황계(수탉)가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수탉이 울 수 없듯이 임과의 재회가 불가능함을 암시하는 상징으로 해석됩니다57.
#link:
2025.03.18 - [문학 (Literature)] -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2가사의 정의와 특징12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 가사문학을 바탕으로 한 음악 형식으로, 현재 12곡이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주로 한문시형, 가사체 문장, 민요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osohantry.tistory.com
#ref.: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545
'문학 (Literature) > 한국 시 (Korean Po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양양가(襄陽歌)> - 십이가사 (0) | 2025.03.16 |
---|---|
Poem) <수양산가(首陽山歌)> - 십이가사 (1) | 2025.03.15 |
Poem) <죽지사(竹枝詞)> - 십이가사 (2) | 2025.03.15 |
Poem) <상사별곡(相思別曲)> - 십이가사 (1) | 2025.03.14 |
Poem) <춘면곡(春眠曲)> - 십이가사 (1)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