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죽지사(竹枝詞)> - 십이가사

sosohantry 2025. 3. 15. 14:00
반응형

<죽지사(竹枝詞)>

 

원문:
1

乾坤(건곤)이 不老月長在(불로월장재)하니  
寂寞江山(적막강산) 今百年(금백년)이라  
어이오이이오이히오이아에  
一心情念(일심정념)은 極樂(극락)  
나하무하하무아 阿彌像(아미상)이로구나  
나니나노나니나노나니

2

騎鯨仙子(기경선자) 浪吟過(랑음과)하니  
茫洋秋色(망양추색)이 迷長天(미장천)이라  
어이오이이오이히으이아에  
一心情念(일심정념)은 極樂(극락)  
나하무하하무아 阿彌像(아미상)이로구나  
나니나노나니나 세계(세계)로구나  
나니나노나니나

3

冊(책) 보다 창(窓) 퉁탕 열치니  
江湖(강호)에 둥덩실 白鷗(백구) 둥둥 떳다  
어이오이이오이히으이하에  
一便情念(일편정념)은 極樂(극락)  
나하무하하무아 阿彌像(아미상)이로구나  
나니나노나니나

4

洛東江上(낙동강상)에 仙舟泛(선주범)하니  
吹笛歌聲(취적가성)이 落遠風(낙원풍)이로다  
어이오이이오이히으이아에  
一便情念(일편정념)은 極樂(극락)  
나하무하하무아 阿彌像(아미상)이로구나  
나니나노나니나 세계(세계)로구나  
나니나노나니나

 


 

해석본:

 

1절 해석:


하늘과 땅은 늙지 않고 달은 언제나 그대로인데,
고요한 강산은 지금 백 년의 세월을 보냈구나.
(후렴구: 어이오이이오이히오이아에)
한마음으로 극락을 생각하니,
나무아미타불이시여.
(후렴구: 나니나노나니나노나니)

2절 해석:


고래를 타고 온 신선이 노래하며 지나가니,
아득한 가을 풍경이 넓은 하늘에 펼쳐져 있구나.
(후렴구: 어이오이이오이히으이아에)
한마음으로 극락을 생각하니,
나무아미타불이시여.
이 세상이로구나.
(후렴구: 나니나노나니나)


3절 해석:


책을 보다 창문을 쾅 열어젖히니,
강호에 흰 갈매기가 둥실둥실 떴구나.
(후렴구: 어이오이이오이히으이하에)
한마음으로 극락을 생각하니,
나무아미타불이시여.
(후렴구: 나니나노나니나)

4절 해석:

 

낙동강 위에 신선의 배가 떠다니니,
피리 불며 노래하는 소리가 먼 바람에 실려 오는구나.
(후렴구: 어이오이이오이히으이아에)
한마음으로 극락을 생각하니,
나무아미타불이시여.
이 세상이로구나.
(후렴구: 나니나노나니나)


 


이 이미지는 동양적인 미학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은 예술적 장면들로 구성된 콜라주입니다. 각 장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왼쪽 상단: 붉은 단풍나무 아래에서 호수와 정자를 배경으로 한 인물이 앉아 있는 모습.

중앙 상단: 산 정상에서 일출을 바라보며 명상하는 노인의 모습.

오른쪽 상단: 가을 숲 속에서 피리를 부는 전통 복장을 입은 인물.

왼쪽 하단: 전통적인 다리와 소나무가 있는 평화로운 풍경.

중앙 하단: 전통 문양의 원형 창문으로 빛이 들어오는 서재 내부.

오른쪽 하단: 거대한 고래 위에 서 있는 인물과 파도, 그리고 새들이 함께 어우러진 초현실적인 장면.

가운데 오른쪽: 새들이 날아다니는 호수 위에서 작은 배를 타고 있는 인물.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동양 문화, 자연, 평화로움, 그리고 초현실적 요소를 조화롭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죽지사

 

 

#perspectives

시 분석 및 추가 정보

  1. 시 분석 및 비평
    죽지사는 조선 후기의 가창용 가사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노래하며 불교적 세계관을 담고 있다. 반복되는 후렴구와 입타령은 음악적 요소를 강조하며, 청중의 감각을 사로잡는다. 특히 "건곤이 불로 월장재"라는 구절은 자연의 영원성과 인간의 덧없음을 대조적으로 묘사하며 철학적 깊이를 더한다.
  2.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조사
    죽지사는 특정 작자 미상의 전통 가사로 전해지지만, 일부 구절은 조선 후기 학자인 도암 이재(李縡)의 시에서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재는 성리학 연구와 문학 창작에 전념했던 인물이다68.
  3. 시인의 개인적 경험과 창작 과정
    이재는 신임사화 이후 설악산에 은거하며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했다. 이러한 경험은 그의 시가 자연과 철학적 사유를 결합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6.
  4. 시 관련 뉴스 및 최신 정보 조사
    죽지사는 현재도 국악 공연과 문학 연구에서 중요한 소재로 다뤄지고 있으며, 지역 문화와 역사를 재조명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78.
  5. 멀티미디어 자료 조사 및 설명
    • 국악 공연에서 죽지사는 느린 장단과 우조적 음계를 바탕으로 연주된다.
    • 관련 영상이나 음원은 전통 음악 플랫폼에서 확인 가능하다.

 

역사적 및 문화적 배경

  1. 시의 역사적 배경
    죽지사는 중국 악부시를 모방한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조선 후기에는 지역 풍속과 자연을 노래하는 작품으로 발전했다17.
  2. 그 당시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당시 한국인들에게 죽지사는 자연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철학적 성찰을 제공하는 동시에, 민속적 정서를 담아낸 노래로 받아들여졌다.
  3. 현대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현대 한국인들은 죽지사를 전통 문화유산으로 보며, 그 안에 담긴 자연 사랑과 불교적 세계관을 재발견하고 있다.
  4. 현대 미국인의 관점에서 본 해석
    미국 독자들에게 죽지사는 동양 철학과 예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보편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현대적 변환

  1. 현대적 버전으로 변환
    "하늘과 땅은 늙지 않고 달은 길게 머물러 있다. 적막한 산천은 백 년 동안 변함없구나."

 

영향력 분석

  1. 삶에 미치는 영향과 통찰
    • 죽지사는 자연 속에서 삶의 무상함을 깨닫고 초월적 평안을 추구하도록 영감을 준다.
    • 불교적 사상이 내재된 구절들은 현대인들에게 명상과 내면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2. 현실 세계 반영 방식
    이 작품은 인간 삶의 유한성과 자연의 영속성을 대비시키며 생태와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3. 영향력 분석
    • 문학: 한시와 가사의 융합 사례로 연구 가치가 높다.
    • 음악: 국악 공연 레퍼토리로 활용된다.

 

추가 정보

  1. 핵심 용어 설명
    • 불로월장재(不老月長在): 늙지 않고 오래 머무름.
    • 극락남무아미상(極樂南無阿彌像): 아미타불의 극락 세계.
    • 건곤(乾坤): 하늘과 땅, 우주를 의미
    • 적막강산(寂寞江山): 고요한 산과 강
    • 일심정념(一心情念): 한마음으로 생각함
    • 극락(極樂): 불교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세계
    • 아미상(阿彌像): 아미타불의 모습
  2. 시 제목의 의미 및 설명
    죽지사는 "대나무 가지 노래"라는 뜻으로, 대나무가 상징하는 굳건함과 고결함을 표현한다17.

 

 

 

#link:

2025.03.18 - [문학 (Literature)] -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2가사의 정의와 특징12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 가사문학을 바탕으로 한 음악 형식으로, 현재 12곡이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주로 한문시형, 가사체 문장, 민요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osohantry.tistory.com

 

 

 

#ref.: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SourID=SOUR00153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