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별곡(相思別曲)>
원문:
인간리별(人間離別) 만사중(萬事中)에 독수공방(獨守空房)이 더욱 셟다.
상사불견(相思不見) 이 진정(眞情)을 졔 뉘라서 짐작하리
친 시름 허튼근심 근심 다 후루혀 던져두고
자나나 나자나 임을 못보와 가답답
얼인 양자(樣姿) 고은소래 눈에 암암(黯黯) 귀에 쟁쟁(錚錚)
보고지고 임의 얼골 듯고지고 임의 소
비이다 하날님 임 생기라 비나이다.
전생차생(前生此生)이라 무 죄(罪)로 우리 두리 삼겨나셔
잇지마자 처음 세 죽지마자 백년기약(百年期約)
천금같이 믿엇드니 세상일에 마(魔)가 많다.
천금주옥(千金珠玉) 귀 밧기오 세상빈부(世上貧富) 관겨랴
근원(根源) 흘너 물이 되여 깁고깁고 다시 깁고
랑 무어 뫼히되야 놉고놉고 다시 놉하
문허질줄 모르거든 허질줄 졔뉘알니
일조낭군(一朝郞君) 이별후의 소식(消息)조차 돈절(頓絶)니
오늘올 내일올 그린지도 오거라
일월무정(一月無情) 졀노가니 옥안운발(玉顔雲髮) 공로(空老)로다
이별이 불이 되어 태우느니 간장(肝腸)이다
나며들며 빈 방 안에 다만 숨이로다
인간니별(人間離別) 만사중(萬事中)의 나 갓튼이 이슬가
바람부러 구룸되야 구름 져문날의
나며들며 빈 방으로 오락가락 혼자 안져
임 계신 바라보니 이 상사(相思) 허사(虛事)로다
공방미인(空房美人) 독상사(獨相思)가 녜로붓터 이러가
랑 긋것 임도 날 각가
날 랑 랑려가
만천청산(萬疊靑山) 들어간들 어늬 랑군(郞君) 날 찾으리
산(山)은 첩첩(疊疊) 고개되고 물은 충충 소(沼)이로다
오동추야(梧桐秋夜) 밝은 달에 님 생각이 새로 왜라
무정(無情)하여 그러한가 유정(有情)야 이러가
산계야목(山鷄夜鶩) 길을 려 도라올줄 모로난가
노류장화(路柳墻花) 어쥐고 춘색(春色)으로 단기가
가길 자최업셔 오는길 무듸거다
번 죽어 도라가면 다시 오기 어려오리
녯 정(情)이 잇거든 다시 보게 삼기소셔
해석본:
인간의 이별 중에서도 홀로 빈방을 지키는 일이 더욱 서럽다.
그리워도 보지 못하는 이 마음을 누가 알겠는가.
맺힌 시름과 헛된 근심을 모두 떨쳐버리고,
자나 깨나 임을 못 보니 가슴이 답답하다.
임의 모습과 고운 목소리가 눈에 어른거리고 귀에 생생하다.
보고 싶구나, 임의 얼굴. 듣고 싶구나, 임의 목소리.
하느님께 비옵니다. 임을 다시 보게 해 주소서.
전생과 현생에 무슨 죄로 우리 둘이 이렇게 되었는가.
잊지 말자던 처음의 맹세와 백년을 함께하자는 약속이 있었는데,
세상일에는 방해가 많구나.
천금 같은 보석도 귀에 들리지 않고, 세상의 빈부 따위는 상관없다.
우리의 사랑은 강물처럼 깊어지고 산처럼 높아져 끊어질 줄 모르는데,
누가 그 끝을 알겠는가.
한 번 이별한 후 소식조차 끊기니,
오늘 올까 내일 올까 기다린 지 오래다.
시간은 무정하여 흘러가고, 임의 얼굴과 머리카락은 헛되이 늙어간다.
이별은 불처럼 간장을 태우고, 남은 것은 텅 빈 방 안의 한숨뿐이다.
산과 물이 첩첩으로 막혀 있는 곳에서, 어느 임이 나를 찾으리오?
오동나무 아래 밝은 달빛에 임 생각이 새롭다.
#perspectives
시 분석 및 비평
**<상사별곡>**은 조선 후기 가사 문학의 대표작으로, 남녀 간의 순수한 사랑과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화자는 독수공방(홀로 빈방을 지키는 상황)의 서러움 속에서 임에 대한 그리움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합니다. 작품은 4음보 연속체 형식을 따르며, 설의법과 대구법 같은 수사적 기법과 자연물 이미지를 활용하여 감정을 극대화합니다.
특히, 상사(相思)라는 주제는 유교적 가치관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감정과 순수한 사랑을 강조하며, 이는 당대 문학에서 새로운 흐름으로 평가됩니다.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작자는 미상이며, 조선 후기 서민층 혹은 기녀들이 부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작품 속 화자는 여성적 시각에서 임과의 이별 후 느끼는 슬픔과 그리움을 진솔하게 드러냅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 후기, 계층 간 이동과 사회적 변화 속에서 개인 감정 표현이 문학에 반영되었습니다. <상사별곡>처럼 남녀 간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들은 당시 엄격한 유교적 질서를 벗어난 새로운 문학적 경향으로 주목받았습니다.
그 당시 한국인의 관점으로 이 시를 설명
조선 후기의 한국인들은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도 개인적인 감정과 사랑을 표현하는 데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상사별곡>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탄생한 작품으로, 이별과 그리움을 솔직히 드러냄으로써 당시 사람들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특히, 독수공방(홀로 빈방을 지키는 상황)과 같은 이미지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고독과 사랑에 대한 열망을 대변하며, 이는 당시 사회적 억압 속에서도 인간적인 감정을 표현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913.
현대 한국인의 관점으로 이 시를 설명
현대 한국인들은 <상사별곡>을 전통 문학의 한 갈래로서 감상하며, 사랑과 이별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통해 여전히 공감을 느낍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의 감정 표현이 자유로워졌기에, 이 작품 속 화자의 애절한 마음은 과거보다 더 깊은 감동을 줍니다. 또한, 작품에 담긴 자연 이미지와 순우리말 표현은 전통 문화와 언어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게 해줍니다1315.
현대 미국인의 관점으로 이 시를 설명
현대 미국인들은 <상사별곡>을 동양 문학의 정서적 깊이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이 시에 담긴 자연 이미지와 인간 감정의 조화는 동양적 미학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서구 문학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독특한 매력을 제공합니다. 또한, 사랑과 이별이라는 주제는 문화적 차이를 넘어 보편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시를 읽기 쉽게 현대적으로 변환
현대어 변환:
"이별은 모든 일 중 가장 슬픈 일이니, 홀로 빈방을 지키는 것이 더욱 서럽습니다.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마음을 누가 알겠습니까?
흩어진 마음을 다잡아 보려 하지만, 자나 깨나 임을 보지 못해 가슴이 답답합니다.
임의 얼굴과 목소리가 눈앞에 아른거리고 귀에 들리는 듯합니다.
임의 모습을 보고 싶고, 목소리를 듣고 싶습니다.
하늘에 기도하며 임의 건강과 행복을 빕니다."
질문 답변
이 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상사별곡>은 사랑과 그리움이라는 인간 본연의 감정을 통해 삶의 소중함과 관계의 중요성을 일깨웁니다.
이 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은 무엇인가?
사랑과 이별은 인생에서 피할 수 없는 경험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정서적으로 성숙해질 수 있다는 깨달음을 줍니다.
이 시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방식은 어떠한가?
<상사별곡>은 개인적인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며, 당시 억압된 사회 구조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이 시의 영향력은 어떤 분야에 어떻게 미쳤나요?
문학적으로는 조선 후기 가사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전통 문학 연구와 교육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묻는 질문들
- <상사별곡>의 작자는 누구인가요?
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조선 후기 서민 혹은 기녀들 사이에서 불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 왜 독수공방이라는 표현이 중요한가요?
이는 화자의 외로움과 그리움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작품 전체의 정서를 형성합니다. - 이 작품은 어떤 장르에 속하나요?
조선 후기 가사 문학에 속하며 서정성과 서사가 혼합된 특징을 가집니다.
핵심 용어 설명
- 독수공방(獨守空房): 홀로 빈방을 지키며 외롭게 지내는 상황.
- 임(任): 사랑하는 사람을 뜻하며, 고전 문학에서는 연인이나 배우자를 의미함.
- 백년기약(百年期約): 백 년 동안 함께하자는 약속으로 영원한 사랑을 상징.
시 제목 설명
<상사별곡(相思別曲)>: "서로 그리워하며 헤어진 노래"라는 뜻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느끼는 애틋함과 슬픔을 담고 있습니다.
4음보란...
4음보는 시가에서 한 행을 네 번 끊어 읽는 운율 단위를 말합니다. 주로 시조와 가사 문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형식으로, 안정감 있는 리듬을 만들어냅니다412.
4음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 행을 네 개의 휴지(休止)로 나누어 읽습니다12.
- 각 음보는 보통 3~4음절로 구성됩니다48.
- 4음보는 느리고 유장한 노래에 적합한 리듬을 만듭니다11.
- 시조와 가사 문학에서 기본적인 율격으로 사용됩니다512.
예를 들어, 다음 시조의 각 행은 4음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산이 / 높다하되 / 하늘 아래 / 뫼이로다14
이러한 4음보 구조는 한국 전통 시가의 특징적인 운율 형식으로, 시의 리듬감과 음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음보의 역사적 배경은...
4음보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발전했습니다46.
-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권 교체 과정에서 3음보 중심이었던 고려 속요가 주도권을 상실하고, 4음보 중심의 시조가 새로운 주도적 시가 형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4.
- 이러한 변화는 시가의 주된 담당 계층이 서민층에서 사대부층으로 전환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4.
-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은 균형감과 안정감이 있는 4음보의 노래가 그들의 사고방식에 더 적합하다고 여겼습니다4.
- 4음보는 시조와 가사 문학의 기본 율격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조선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왔습니다5.
- 4음보 형식은 유학자들의 정신과 정서를 표출하기에 적합했으며, 이는 조선 초기 문화계의 전면적인 개편과 맞물려 있습니다6.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4음보는 한국 전통 시가의 중요한 운율 형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4음보의 영향은...
4음보의 율격은 시가의 감성과 표현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 1. **장중하고 안정된 정서 표현**
4음보는 규칙적이고 유장한 리듬을 통해 장중하고 안정된 정서를 전달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는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의 가치관과 질서 의식을 반영하며, 시조나 가사 문학에서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율격은 독자의 감정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작품의 품격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1][2].
### 2. **내용과 리듬의 조화**
4음보는 일정한 호흡 단위로 나뉘어 있어, 시적 내용과 리듬이 조화를 이루는 데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자연 풍경을 묘사하거나 철학적 사유를 담은 작품에서는 4음보의 느리고 안정된 리듬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이는 독자에게 깊은 여운을 남기며, 시적 감성을 극대화합니다.
### 3. **공동체적 정서와 교감**
4음보는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구조로 인해 판소리나 민요와 같은 구술 문학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공동체가 함께 교감할 수 있는 정서를 형성했습니다. 특히, 반복적인 리듬은 집단적 감정 표현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 4. **문학적 품격과 형식미 강화**
4음보는 고전 시가에서 엄격한 형식미를 유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운율을 제공하여 문학적 품격을 높였습니다. 이는 시조와 가사 문학이 단순히 개인 감정 표현에 그치지 않고, 철학적·윤리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적합한 형식으로 자리 잡게 했습니다.
### 5. **현대시로의 영향**
4음보는 현대시에서도 변용되어 사용되며, 전통적인 운율감을 현대적인 주제와 결합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림의 「목계장터」 같은 작품에서는 4음보의 유장한 리듬을 통해 시대적 고난과 화자의 숙명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냅니다.
결론적으로, 4음보는 시가의 감성과 표현에서 안정감, 장중함, 그리고 공동체적 정서를 강조하며, 고전 문학에서 현대 문학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율격입니다.
4음보의 구체적인 예시는...
4음보의 율격이 시가의 감성과 표현에 미친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정감과 장중함 표현:
백석의 시 「여승」에서 볼 수 있습니다1. 예를 들어:
"여승은 / 합장하고 / 절을 / 했다
가지취의 / 내음새가 / 났다"
이 4음보 구조는 시에 안정감을 부여하며, 여승의 모습을 장중하게 묘사합니다.
- 리듬감과 음악성 강화:
고려속요 「청산별곡」, 「서경별곡」 등에서 4음보 율격은 발랄하고 율동적인 평민의 감정을 잘 나타냅니다2. 이는 노래로 불리기에 적합한 리듬을 만들어냅니다. - 의미 전달의 효과성:
4음보는 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기여합니다. 각 음보가 의미 단위와 일치하여 시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3. - 정서적 공감대 형성:
4음보의 규칙적인 리듬은 독자나 청자와의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특히 민요나 구전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4. - 시적 긴장감 조성:
4음보 구조는 각 행의 마지막 음보에서 시적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의 전개와 결말에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5.
이러한 예시들은 4음보 율격이 시가의 감성과 표현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며, 시의 리듬감, 의미 전달, 정서적 효과 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음보와 4음보의 율격의 구체적인 비교는...
3음보와 4음보의 율격은 각각 시가의 감성과 표현에 독특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두 율격의 차이는 시의 분위기, 정서 전달 방식, 그리고 리듬감에서 크게 드러납니다.
3음보의 감성과 표현에 미친 영향
- 경쾌함과 활기
3음보는 짧고 빠른 리듬을 제공하여 경쾌하고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이는 고려가요와 민요에서 자주 사용되며, 서민적이고 일상적인 정서를 잘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고려가요 *「청산별곡」*에서:- "살어리 살어리랏다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러한 구조는 반복적이고 율동적인 느낌을 주며, 대중적이고 친근한 감정을 전달합니다.
- "살어리 살어리랏다 / 청산에 살어리랏다"
- 자유로운 표현
3음보는 비교적 간결한 구조로 인해 자유로운 감정 표현이 가능하며, 자연스럽고 소박한 정서를 강조합니다. - 집단적 공감대 형성
3음보는 노래로 부르기에 적합한 리듬을 제공하여 공동체적 정서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는 민요와 구전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음보의 감성과 표현에 미친 영향
- 장중함과 안정감
4음보는 느리고 유장한 리듬으로 장중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이는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의 가치관과 질서 의식을 반영하며, 시조나 가사 문학에서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시조 *「오우가」*에서:- "수풀에 우는 새는 / 나를 반겨 울고"
이러한 구조는 화자의 사유와 정서를 차분하게 전달하며,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 "수풀에 우는 새는 / 나를 반겨 울고"
- 철학적·윤리적 메시지 전달
4음보는 규칙적인 운율로 인해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는 조선시대 시조 문학에서 인간의 내면과 자연에 대한 깊은 성찰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개인적 정서 강조
4음보는 개인의 감정을 섬세하고 진지하게 표현할 수 있어, 사랑과 이별 같은 주제를 다룰 때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상사별곡」*에서는 이별의 슬픔이 장중한 리듬 속에서 애절하게 드러납니다.
비교 요약
특징 | 3음보 | 4음보 |
리듬감 | 경쾌하고 빠름 | 느리고 안정적 |
분위기 | 활기차고 소박함 | 장중하고 엄숙함 |
사용 계층 | 서민층 중심 | 사대부 중심 |
주요 장르 | 민요, 고려가요 | 시조, 가사 |
정서 전달 | 집단적이고 대중적인 정서 | 개인적이고 철학적인 정서 |
결론적으로, 3음보는 경쾌하고 대중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적합하며 공동체적 공감을 형성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반면, 4음보는 장중하고 깊은 정서를 전달하며 개인적인 사유와 철학적 메시지를 강조하는 데 뛰어납니다. 두 율격은 각각의 문학적 목적과 시대적 배경에 따라 독특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link:
2025.03.18 - [문학 (Literature)] -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2가사의 정의와 특징12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 가사문학을 바탕으로 한 음악 형식으로, 현재 12곡이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 곡들은 주로 한문시형, 가사체 문장, 민요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osohantry.tistory.com
#ref.:
http://db.hiks.or.kr/trpj/node.do?itemId=&gubun=&upPath=&dataId=HIKS_OD_F1038-01-220174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243
'문학 (Literature) > 한국 시 (Korean Po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황계사(黃鷄詞)> - 십이가사 (3) | 2025.03.15 |
---|---|
Poem) <죽지사(竹枝詞)> - 십이가사 (2) | 2025.03.15 |
Poem) <춘면곡(春眠曲)> - 십이가사 (1) | 2025.03.13 |
Poem) <백구사(白鷗詞)> - 십이가사 (1) | 2025.03.13 |
Poem) 윤선도, <조무요(朝霧謠)> (2)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