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병원>
살구나무 그늘로 얼굴을 가리고, 병원 뒤뜰에 누워, 젊은 여자가 흰 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 놓고 일광욕을 한다.
한나절이 기울도록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를 찾아오는 이, 나비 한 마리도 없다.
슬프지도 않은 살구나무 가지에는 바람조차 없다.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안 된다.
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화단에서 금잔화(金盞花)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다.
나는 그 여자의 건강이, 아니 내 건강도 속히 회복되기를 바라며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perspectives
## 역사적 배경
이 시 배경은 일제 강점기의 말기로, 한국인들은 극심한 억압과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유학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한국 사회는 전쟁의 그림자가 짙어지는 가운데 정신적, 육체적으로 병들어가고 있었습니다.
## 당시 한국인의 관점
당시 한국인들에게 이 시는 개인의 고통과 사회의 병폐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입니다. "나도 모를 아픔"은 일제 강점 하에서 겪는 민족의 고통을, "늙은 의사"는 무능한 지도자나 기성세대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젊은 세대의 고뇌와 기성세대와의 단절, 그리고 치유되지 않는 사회의 병폐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이해되었을 것입니다.
## 현대 한국인의 관점
현대 한국인들에게 이 시는 개인의 내면세계와 사회적 소외를 다룬 작품으로 해석됩니다. "젊은 여자"와 "나"의 고립된 모습은 현대 사회에서 느끼는 소외감과 연결됩니다. 또한, 치유되지 않는 병은 현대인의 정신적 고통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며, 이는 오늘날의 정신 건강 문제와도 연관 지어 해석됩니다.
## 현대 미국인의 관점
미국인들은 이 시를 보편적 인간 경험을 다룬 작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느끼는 고립감, 이해받지 못하는 젊은이의 고뇌는 문화를 초월한 주제입니다. 또한, 자연(살구나무, 나비)과 인간의 대비를 통해 인간 존재의 취약성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시 분석
1. **이미지와 상징**: 살구나무, 흰 옷, 나비 등의 이미지를 통해 순수함과 동시에 고립감을 표현합니다.
2. **대비**: 젊은 여자와 나의 병, 늙은 의사의 무지를 대비시켜 세대 간 단절을 보여줍니다.
3. **공간**: 병원이라는 폐쇄적 공간을 통해 사회적 고립과 개인의 내면세계를 표현합니다.
4. **결말**: 금잔화를 통해 희망의 가능성을 암시하지만, 여전히 불확실한 미래를 보여줍니다.
#link:
https://sosohantry.tistory.com/entry/Short-story-살구나무의-날개
#ref.:
https://namu.wiki/w/%EB%B3%91%EC%9B%90(%EC%9C%A4%EB%8F%99%EC%A3%BC)
'문학 (Literature) > 한국 시 (Korean Po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이상, <절벽> (3) | 2024.12.25 |
---|---|
Poem) 이상, <이런 시> (3) | 2024.12.24 |
Poem) 윤동주, <눈이 오는 지도> (3) | 2024.12.22 |
Poem) 윤동주, <새로운 길> (2) | 2024.12.21 |
Poem) 윤동주, <참회록> (82)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