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이상화, <나의 침실(寢室)로>

sosohantry 2025. 1. 10. 09:24

이상화,

<나의 침실(寢室)로>

 

「마돈나」 지금은 밤도, 모든 목거지에, 다니로라 疲困하여 돌아겨려는도다,
아, 너도, 먼동이 트기 전으로, 水蜜桃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 오너라.

「마돈나」 오려무나, 네 집에서 눈으로 遺傳하던 眞珠는, 다 두고 몸만 오너라,
빨리 가자, 우리는 밝음이 오면, 어딘지도 모르게 숨는 두 별이어라.

「마돈나」 구석지고도 어둔 마음의 거리에서, 나는 두려워 떨며 기다리노라,
아, 어느덧 첫닭이 울고-뭇 개가 짖도다, 나의 아씨여, 너도 듣느냐.

「마돈나」 지난 밤이 새도록, 내 손수 닦아둔 寢室로 가자, 寢室로 !
낡은 달은 빠지려는데, 내 귀가 듣는 발자욱-오, 너의 것이냐?

「마돈나」 짧은 심지를 더우잡고, 눈물도 없이 하소연하는 내 맘의 燭불을 봐라,
羊털 같은 바람결에도 窒息이 되어, 얄푸른 연기로 꺼지려는도다.

「마돈나」 오너라 가자, 앞산 그르매가, 도깨비처럼, 발도 없이 이곳 가까이 오도다,
아, 행여나, 누가 볼는지-가슴이 뛰누나,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마돈나」 날이 새련다, 빨리 오려무나, 寺院의 쇠북이, 우리를 비웃기 전에
네 손이 내 목을 안아라, 우리도 이 밤과 같이, 오랜 나라로 가고 말자.

「마돈나」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다리 건너 있는 내 寢室 열 이도 없느니 !
아, 바람이 불도다, 그와 같이 가볍게 오려무나, 나의 아씨여, 네가 오느냐?

「마돈나」 가엾어라, 나는 미치고 말았는가, 없는 소리를 내 귀가 들음은,
내 몸에 피란 피-가슴의 샘이, 말라버린 듯, 마음과 목이 타려는도다.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 갈테면, 우리가 가자, 끄을려 가지 말고 !

너는 내 말을 믿는 「마돈나」-내 寢室이 復活의 洞窟임을 네야 알련만……

「마돈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얽는 꿈, 사람이 안고 궁그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으니,

아, 어린애 가슴처럼 歲月 모르는 나의 寢室로 가자,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마돈나」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도다,
아, 안개가 사라지기 전으로, 네가 와야지,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나의 침실로

 

 

#perspectives
이상화의 시 "나의 침실로"는 1920년대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입니다. 이 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시인의 내면 세계를 복합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 역사적 배경
이 시가 쓰인 1923년은 일제강점기로, 3.1 운동 이후 민족의 독립에 대한 열망이 좌절된 시기였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시인들로 하여금 현실 도피적이고 퇴폐적인 경향의 작품을 쓰게 만들었습니다.

## 당시 한국인의 관점
1920년대 한국 문단에서 이 시는 매우 파격적이고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마돈나'와 '침실'이라는 소재를 통해 관능적인 이미지를 표현한 것은 당시로서는 매우 새로운 시도였습니다. 많은 독자들은 이 시를 통해 억압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와 자유에 대한 갈망을 느꼈을 것입니다.

## 현대 한국인의 관점
현대의 한국인들은 이 시를 단순히 관능적인 작품으로 보기보다는, 다층적인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해석합니다. '마돈나'는 연인일 수도 있고, 잃어버린 조국을 상징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이상적인 세계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침실'은 단순한 육체적 공간이 아닌, 정신적 안식과 재생의 공간으로 해석됩니다.

## 현대 미국인의 관점
미국인들의 관점에서 이 시는 20세기 초 한국의 문화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는 흥미로운 작품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서구의 종교적 이미지인 '마돈나'를 동양의 시에서 사용한 점, 그리고 이를 통해 표현된 자유와 해방에 대한 갈망은 보편적인 인간의 욕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시 분석
이 시는 총 12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의 첫 행은 '마돈나'로 시작합니다. 이는 화자가 '마돈나'를 간절히 부르는 모습을 강조합니다.

시의 전반부(1-6연)에서는 화자가 '마돈나'를 기다리는 모습과 함께 가고 싶어 하는 마음이 표현됩니다. "水蜜桃의 네 가슴"과 같은 관능적 표현이 사용되어 화자의 열정을 나타냅니다.

후반부(7-12연)에서는 '침실'의 의미가 확장됩니다. "내 寢室이 復活의 洞窟임을 네야 알련만"이라는 구절에서 볼 수 있듯이, 침실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닌 재생과 부활의 공간으로 묘사됩니다.

시의 마지막 연에서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도다"라는 표현은 밤이 끝나가고 있음을 의미하며, 화자의 간절한 기다림과 초조함을 더욱 강조합니다.

## 현대적 해석

이 시는 단순히 연인을 기다리는 남성의 모습을 넘어, 억압된 현실에서 벗어나 이상적인 세계로 가고자 하는 인간의 보편적 욕구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마돈나'와 '침실'은 각각 구원과 안식을 상징하며, 이를 통해 시인은 당시의 암울한 현실을 초월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change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를 현대적으로 변환한 버전입니다:

## 우리의 안식처로

사랑하는 그대여, 밤이 깊어 모든 거리가 고요해지고 있어요
피곤에 지친 나는 이제 돌아가려 해요

아, 그대도 새벽이 오기 전에
복숭아처럼 부드러운 그대의 가슴에 이슬이 맺히기 전에 서둘러 와주세요

사랑하는 그대여, 우리 집에서 소중히 간직하던 보석은 모두 두고 그냥 와요
빨리 가요, 우리는 아침이 오면 어디론가 사라져야 할 두 별 같아요

사랑하는 그대여, 어둡고 외로운 마음의 거리에서 나는 두려움에 떨며 기다리고 있어요
아, 어느새 첫 닭이 울고 개들이 짖기 시작해요, 내 사랑, 그대도 들리나요?

사랑하는 그대여, 밤새 정성스레 준비한 우리의 안식처로 가요, 그곳으로!
낡은 달이 지려 하는데, 내 귀에 들리는 발자국 소리, 오, 그대인가요?

사랑하는 그대여, 짧은 촛불을 붙잡고 눈물 없이 호소하는 내 마음의 불빛을 봐요
부드러운 바람에도 꺼질 듯 연한 연기를 내뿜고 있어요

사랑하는 그대여, 와요, 가요, 새벽이 우리를 향해 다가오고 있어요
아, 혹시라도 누가 볼까 봐 가슴이 뛰는구나, 내 사랑, 그대를 부르고 있어요

사랑하는 그대여, 날이 밝으려 해요, 빨리 와요, 세상이 우리를 비웃기 전에
그대의 손으로 내 목을 안아요, 우리도 이 밤처럼 영원한 곳으로 떠나요

사랑하는 그대여, 후회와 두려움을 넘어 있는 우리의 안식처, 열 수 있는 사람 아무도 없어요!
아, 바람이 불어요, 그처럼 가볍게 와요, 내 사랑, 그대가 오고 있나요?

사랑하는 그대여, 가엾은 나, 미쳐버린 걸까요, 없는 소리를 내 귀가 듣고 있어요
내 몸의 피, 가슴의 샘이 말라버린 듯 마음과 목이 타들어 가요

사랑하는 그대여, 언젠가는 모두 가야 할 곳, 간다면 우리 함께 가요, 끌려가지 말고!
그대는 내 말을 믿는 나의 구원자, 우리의 안식처가 새로운 시작의 장소임을 알고 있겠죠

사랑하는 그대여, 밤의 꿈, 우리의 꿈, 삶의 꿈은 모두 같아요
아, 시간을 모르는 순수한 아이의 마음처럼, 우리의 영원한 안식처로 가요

사랑하는 그대여, 별들의 빛도 흐려지고, 어두운 밤의 물결도 잦아들고 있어요
아, 안개가 걷히기 전에 그대가 와야 해요, 내 사랑, 그대를 부르고 있어요


 

#link:

2025.01.11 - [글쓰기 (Writing)/짧은 이야기 (Short story with AI)] - Short story) 달빛 속의 조각들

 

Short story) 달빛 속의 조각들

1장. 운명의 카페서울 구도심의 겨울 아침, 희뿌연 안개가 골목 사이를 흐르고 있었다. 낡고 오래된 건물들은 새벽의 차가운 공기를 머금은 채 무언가를 속삭이는 듯했다. 철거를 앞둔 건축물의

sosohantry.tistory.com

 

 

 

#ref.:

https://ko.wikisource.org/wiki/%EB%82%98%EC%9D%98_%EC%B9%A8%EC%8B%A4%EB%A1%9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