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아내,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sosohantry 2025. 1. 15. 09:35
반응형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아내,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公공無무渡도河하
公공竟경渡도河하
墮타河하而이死사
當당奈내公공何하

 

---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가신 임을 어이할꼬.

 


공무도하가

 

 

#perspectives
## 역사적 배경
공무도하가는 고조선 시대의 작품으로 알려진 한국 최고(最古)의 서정시입니다. 이 노래는 집단 가요에서 개인 서정시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당시 한국인의 관점
고조선 시대 사람들에게 이 노래는 임을 잃은 슬픔과 한(恨)을 표현한 작품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이 노래를 통해 이별과 죽음에 대한 정서를 공유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 현대 한국인의 관점
1. 사회적 의미: 시대 변화에 대한 저항과 체념을 담은 작품으로 봅니다.
2. 예술적 의미: 예술가의 고뇌와 창작 과정을 상징하는 작품으로 해석합니다.
3. 인생에 대한 성찰: 어쩔 수 없는 인생사에 대한 비감과 체념을 표현한 작품으로 봅니다.

## 현대 미국인의 관점
미국인들에게 이 작품은 생소할 수 있지만, 보편적인 인간 감정을 다룬 작품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과 그에 대한 애도는 문화를 초월한 주제입니다.

## 시 분석
1. 구조: 4언 4구체의 간결한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2. 소재: '물'이 중심 소재로, 이별과 죽음을 상징합니다.
3. 정서: 슬픔, 절망, 체념의 정서가 드러납니다.
4. 화자: 임을 잃은 아내의 목소리로 노래합니다.



#link:

2025.02.22 - [문학 (Literature)] - List) 한국의 고대 가요 목록

 

 

#ref.:

https://ko.wikisource.org/wiki/%EA%B3%B5%EB%AC%B4%EB%8F%84%ED%95%98%EA%B0%8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