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거정 3

Poem) 서거정, <병후희작(病後戱作)>: 술과 시의 유혹

서거정, 원문:病後戱作(병후희작)醫士勸吾休飮酒(의사권오휴음주) 儒家欺我酷耽詩(유가기아혹탐시) 今朝破戒翻成笑(금조파계번성소) 醉酒顚詩自不知(취주전시자부지) ---번역본:앓고 난 후에 재미삼아 짓다 의원은 나에게 술을 마시지 말기를 권하고 유자들은 내가 시 몹시 즐기는 걸 깔보는데 오늘 아침에 파계하고 문득 웃음을 짓나니 나도 모르는 새 술에 취하고 시에 미쳤구나 # perspectives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조사서거정(徐居正, 1420~1488)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문신이자 학자로, 자는 강중(剛中)이고 호는 사가정(四佳亭)입니다. 그는 여섯 왕을 섬기며 45년간 대제학(大提學), 대찬성(大贊成) 등의 벼슬을 지냈습니다12. 서거정은 문집에 ≪사가정집(四佳亭集)≫, ≪동인시화(東人詩..

Poem) 서거정, <봄날(春日)>: 봄의 시름과 흥취

서거정, 원문: 春日(춘일)金入垂楊玉謝梅(금입수양옥사매) 小池春水碧於苔(소지춘수벽어태) 春愁春興誰深淺(춘수춘흥수심천) 燕子不來花未開(연자불래화미개) ---해석본:봄날수양버들 금빛으로 물들고 매화는 지는데 작은 연못 봄물이 이끼보다 더 푸르네 봄의 시름과 운치 중 무엇이 더 깊을까 제비 아직 안 오고 꽃은 피지 않았는데 # perspectives 시인 인터뷰 및 프로필 조사서거정(徐居正, 1420-1488)은 조선 시대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로, 본관은 대구 달성이며, 자는 강중(剛中)입니다. 그는 조선 최초로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겸임했으며, 다양한 학문에 조예가 깊었습니다23. 서거정의 시는 자연과 인간의 정서를 대비하는 특징이 있습니다.시의 창작 과정서거정의 시는..

Q) 24절기중 입하(立夏)가 궁금해요

입하(立夏) 개요 및 특징입하(立夏)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로,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이 절기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전환점으로, 기온이 높아지고 낮이 길어지며 햇빛이 강해지는 시기입니다12. 농경 사회에서는 여름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농부들은 모내기와 같은 주요 농사 작업을 시작합니다13. 역사적 사건입하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으로는 고대 중국에서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며 형성된 24절기 중 하나로, 여름의 시작을 나타내는 중요한 절기였습니다1. 또한, 고려사에 따르면 입하 이후 신일에 우사(雨師)가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3. 현대 사회와의 연관성현대 사회에서는 입하가 여름철 농작물의 생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로 여겨집니다. 또한,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기..

Inbox/Special Day 2025.03.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