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석양>
원문:
<석양>
거리는 장날이다
장날거리에 녕감들이 지나간다
녕감들은
말상을 하였다 범상을 하였다 쪽재피상을 하였다
개발코를 하였다 안장코를 하였다 질병코를 하였다
그 코에 모두 학실을 썼다
돌체 돗보기다 대모체 돗보기다 로이도 돗보기다
녕감들은 유리창 같은 눈을 번득걸이며
투박한 북관말을 떠들어대며
쇠리쇠리한 저녁해 속에
사나운 즘생같이들 살어젔다
---
현대어 변환 시도:
<석양>
거리는 장날이다
장날 거리에 노인들이 지나간다
노인들은
말 얼굴을 하였다 호랑이 얼굴을 하였다 쪽재비 얼굴을 하였다
개코를 하였다 안장 모양의 코를 하였다 질병에 걸린 듯한 코를 하였다
그 코에 모두 안경을 썼다
둥근 테 안경이다 거북이 등껍질 테 안경이다 로이드 안경이다
노인들은 유리창 같은 눈을 번쩍이며
투박한 북쪽 방언을 떠들어대며
쇠잔하고 약한 저녁해 속에
사나운 짐승같이들 살아 있었다
# perspectives
작가와 작품 분석
작가의 삶
백석(白石, 본명 백기행, 1912~1996)은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난 대표적인 향토 시인입니다. 그는 일본 유학을 거쳐 문단에 데뷔했으며,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새로운 흐름을 이끈 인물입니다. 향토적 정서와 서민적 삶에 대한 따뜻한 시선, 그리고 해학과 풍자를 바탕으로 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습니다13310.
작품의 정서, 상황, 시대적 배경
<석양>은 1938년 <삼천리 문학>에 발표된 자유시로, 평북 지방 장날 저녁의 풍경을 해학적으로 그려냅니다. 시인은 장터를 지나는 영감님들의 다양한 얼굴과 코, 그리고 각양각색의 돋보기(안경)를 유머러스하게 묘사합니다. 이들이 저녁 햇살(석양) 속에서 시끌벅적하게 떠들며 사라지는 모습은,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노인들의 삶과도 겹쳐 읽힙니다41115.
1930년대는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였지만, 백석은 이러한 현실을 직접적으로 고발하기보다, 평범한 민중의 일상과 정서를 세밀하게 포착하며 공동체적 삶의 의미를 탐구했습니다14.
작품의 흥미로운 뒷이야기
이 시에서 '돌체 돋보기', '대모체 돋보기', '로이도 돋보기' 등 독특한 안경 이름이 등장하는데, '로이도'는 미국 희극배우 헤롤드 로이드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당시 신문물과 대중문화가 농촌에까지 퍼졌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북관말'은 평북 지역의 사투리를 의미하며, 지역색이 강하게 드러납니다915.
영향력 분석
이 작품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석양>은 평범한 일상과 노년의 삶을 해학적으로 그리면서도, 인생의 황혼에 대한 묵직한 성찰을 전합니다. 노인들의 투박하고 소탈한 모습은 현대인에게도 삶의 소박한 아름다움과 공동체적 정서의 소중함을 일깨워줍니다57.
이 작품에게 영향을 받은 분야
- 한국 현대시에서 향토적 정서와 지역 방언, 해학적 묘사를 강조하는 경향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민중문학, 지역문학, 문학치료(문학을 통한 심리치유) 분야에서 백석의 시가 자주 인용됩니다614.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선정 및 답변 제공
Q) 왜 노인들을 동물에 비유하고, 코와 안경을 상세히 묘사했나요?
A) 이는 노인들의 개성 있는 외모와 삶의 흔적을 유머러스하게 드러내기 위한 장치입니다. 동물 비유(말상, 범상, 족제비상)는 각기 다른 생김새와 성격을, 코와 안경의 묘사는 세월의 흔적과 각자의 삶의 방식, 그리고 당대 신문물의 유입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로써 시인은 평범한 노인들의 삶을 해학적으로, 동시에 따뜻하게 그려냅니다415.
용어 및 배경 설명
핵심 용어 및 어려운 용어 설명
- 석양(夕陽): 저녁 석(夕), 볕 양(陽). 해가 지기 전, 붉게 물드는 저녁 햇살을 의미합니다. 인생의 황혼기와도 연결되는 상징적 시간입니다8.
- 학실: 평북 방언으로, 다리 가운데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돋보기 안경을 뜻합니다15.
- 돌체 돋보기: 석영 유리로 만든 안경테15.
- 대모체 돋보기: 바다거북 등껍질로 만든 안경테15.
- 로이도 돋보기: 미국 희극배우 헤롤드 로이드가 썼던 스타일의 안경15.
- 북관(北關): 함경도 지방을 이르는 말로, 여기서는 평북 방언을 의미합니다15.
- 쇠리쇠리한: 빛이나 색이 강렬해 눈부신 상태를 뜻하는 평북 방언15.
# link:
# ref.: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4368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학 (Literature) > 한국 시 (Korean Po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백석, <외가집>: 잃어버린 고향의 풍경과 두려움 (0) | 2025.05.07 |
---|---|
Poem) 백석, <고향>: 타향에서 만난 따뜻한 고향의 정 (0) | 2025.05.06 |
Poem)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눈 내리는 밤, 사랑과 도피의 환상 (1) | 2025.05.05 |
Poem) 백석, <백화>: 순수와 평화가 머무는 산골 (2) | 2025.05.05 |
Poem) 백석, <야반>: 깊은 밤, 모밀국수와 삶의 온기 (1)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