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술적 노래 2

Poem) <처용가 (處容歌)>: 처용의 덕과 복의 노래

향가 본문:東京明期月良夜入伊遊行如可入良沙寢矣見昆脚烏伊四是良羅二兮隱吾下於叱古二兮隱誰支下焉古本矣吾下是如馬於隱奪叱良乙何如爲理古   양주동 해석본: ᄉᆡᄫᆞᆯ ᄇᆞᆯ긔 ᄃᆞ래밤드리 노니다가드러ᅀᅡ 자리 보곤가ᄅᆞ리 네히어라둘흔 내 해엇고둘흔 뉘 해언고본ᄃᆡ 내 해다마ᄅᆞᆫ아ᅀᅡᄂᆞᆯ 엇디 ᄒᆞ릿고서울 밝은 달에밤들도록 노니다가들어와 자리 보니다리가 넷이어라둘은 내 해였고둘은 뉘 해인고본디 내 해다마는앗은 걸 어찌할꼬   고려가요 원문 : (前腔) 新羅盛代 昭盛代天下大平 羅候德處容아바以是人生애 相常不語ᄒᆞ시란ᄃᆡ以是人生애 相常不語ᄒᆞ시란ᄃᆡ(附葉) 三災八難이 一時消滅ᄒᆞ샷다(中葉) 어와 아븨 즈ᅀᅵ이여 處容아븨 즈ᅀᅵ이여(附葉) 滿頭揷花 계오우샤 기울어신 머리예(小葉) 아으 壽命長願遠ᄒᆞ샤 넙거신 니마해(後腔) ..

Poem) <해가>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남의 아내 앗은 죄 얼마나 클까  네 만일 거역하고 바치지 않으면  그물로 잡아내어 구워서 먹으리라.  #perspectives는 신라 시대의 고대가요로, 수로부인을 납치한 해룡(海龍)을 위협하여 부인을 되찾고자 부른 노래입니다. 역사적 배경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로 부임하던 중 그의 아내인 수로부인이 해룡에게 납치되었습니다. 한 노인의 조언에 따라 백성들을 모아 이 노래를 부르며 막대기로 언덕을 치니 해룡이 수로부인을 돌려보냈다고 합니다.당시 한국인의 관점주술적 믿음: 고대 한국인들은 언어의 주술적 힘을 믿었으며, 집단의 목소리가 초자연적 존재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신령한 존재로서의 거북: 거북은 장수와 신성함의 상징으로 여겨졌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