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정지용, <백록담>

sosohantry 2024. 11. 30. 17:57

<백록담>

 

1

절정에 가까울수록 뻑국채 꽃키가 점점 소모된다. 한마루 오르면 허리가 슬어지고 다시 한마루 위에서 모가지가 없고 나종에는 얼골만 갸옷 내다본다. 화문처럼 판박힌다. 바람이 차기가 함경도 끝과 맞서는 데서 뻑국채 키는 아조 없어지고도 팔월 한철엔 흩어진 성신처럼 난만하다. 산그림자 어둑어둑하면 그러지 않어도 뻑국채 꽃밭에서 별들이 켜든다. 제자리에서 별이 옮긴다. 나는 여기서 기진했다.

2

엄고란, 환약 같이 어여쁜 열매로 목을 축이고 살어 일어섰다.

3

백화 옆에서 백화가 촉루가 되기까지 산다. 내가 죽어 백화처럼 흴 것이 숭없지 않다.

4

귀신도 쓸쓸하여 살지 앟는 한모롱이, 도체비꽃 낮에도 혼자 무서워 파랗게 질린다.

5

바야흐로 해발 육천척 우에서 마소가 사람을 대수롭게 아니여기고 산다. 말이 말끼리 소가 소끼리, 망아지가 어미소를 송아지가 어미말을 따르다가 이내 헤어진다.

6

첫새끼를 낳노라고 암소가 몹시 혼이 났다. 얼결에 산길 백리를 돌아 서귀포로 달어났다. 물도 마르기 전에 어미를 여읜 송아지는 움매-움매- 울었다. 마을 보고도 등산객을 보고도 마구 매어달렸다. 우리 새끼들도 모색이 다른 어미한테 맡길 것을 나는 울었다.

7

풍란이 풍기는 향기, 꾀꼬리 서로 부르는 소리, 제주 회파람새 회파람부는 소리, 돌에 물이 따로 구르는 소리, 먼 데서 바다가 구길 때 솨-솨- 솔소리, 물푸레 동백 떡갈나무 속에는 나는 길을 잘못 들었다가 다시 측넌출 기여가 흰돌바기 고부랑길로 나섰다. 문득 마주친 아롱점말이를 피하지 않는다.

8

고비 고사리 더덕순 도라지꽃 취 삭갓나물 대출 석용 별과 같은 방울을 달은 고산식물을 새기며 취하며 자며 한다. 백록담 조찰한 물을 그리여 산맥 우에서 짓는 행렬이 구름보다 장엄하다. 소나기 놋낫 맞으며 무지개에 말리우면 궁둥이에 꽃물 이겨 붙인 채로 살이 붓는다.

9

가재도 기지 않는 백록담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 불구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의 다리를 돌아 소가 갔다. 쫓겨온 실구름 일말에도 백록담은 흐리운다. 나의 얼골에 한나잘 포긴 백록담은 쓸쓸하다.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

 

 


백록담

 

#perspectives
백록담은 정지용의 대표작으로, 여러 관점에서 분석해볼 수 있는 풍부한 의미를 지닌 시입니다.

## 시대적 배경
일제 강점기 말기의 암울한 시대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시 한국은 일제의 탄압으로 민족의 정체성과 문화가 위협받고 있었습니다. 

## 당시 한국인의 관점
이 시는 민족의 정기와 자연의 순수성을 상징하는 작품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입니다. 백록담은 한민족의 영산인 한라산의 정상에 있는 호수로, 민족의 정체성과 순수한 정신을 상징합니다. 일제 강점기의 억압 속에서 한국인들은 이 시를 통해 민족의 정신적 고향을 그리워하고, 현실을 초월하고자 하는 염원을 느꼈을 것입니다.

## 현대 한국인의 관점
현대 한국인들에게 이 시는 자연과의 합일을 통한 정신적 승화, 그리고 민족 정체성의 회복을 노래한 작품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마지막 연에서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라는 구절은 자아를 잊고 자연과 하나가 되는 동양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 현대 미국인의 관점
미국인들은 이 시를 통해 한국의 자연 풍경과 문화적 특성을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들에게는 한라산과 백록담이라는 구체적인 장소가 낯설 수 있지만, 자연과의 교감을 통한 정신적 승화라는 보편적 주제에 공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식민지 시대의 억압된 민족의 정서를 표현한 작품으로서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시 분석
1. 구조: 이 시는 9개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자가 한라산을 오르며 겪는 경험과 감정을 순차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2. 이미지: 뻑국채, 백화, 도체비꽃 등 다양한 식물의 이미지를 통해 한라산의 자연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3. 상징: 백록담은 민족의 순수한 정신을 상징하며, 한라산 등반은 현실의 고난을 극복하고 정신적 고양을 이루는 과정을 상징합니다.
4. 정서: 초반부의 고단함과 쓸쓸함에서 시작해 후반부로 갈수록 자연과의 합일을 통한 평화로움으로 변화합니다.
5. 언어: 방언과 고어를 적절히 사용하여 제주도의 지역적 특색과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살리고 있습니다.
6. 주제: 자연과의 합일을 통한 정신적 승화, 민족 정체성의 회복, 현실 초월에 대한 염원 등을 주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시는 단순한 자연 묘사를 넘어 당대의 역사적 상황과 민족의 정서, 그리고 보편적인 인간의 정신성을 아우르는 깊이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change

##현대적 해석 - 백록담

정상에 가까워질수록 뻐꾹채 꽃은 점점 작아진다. 한 고개를 오르면 허리가 휘어지고, 다음 고개에서는 목조차 없어져 결국 얼굴만 겨우 내다본다. 마치 꽃그림처럼 고정된다.

차가운 바람이 함경도 끝과 맞닿을 때, 뻐꾹채는 완전히 사라지지만, 8월의 한 달은 흩어진 성신처럼 풍성하다. 산의 그림자가 어둑어둑해지면, 뻐꾹채 꽃밭에서 별들이 켜진다. 별들은 제자리에서 움직인다. 나는 여기서 지쳤다.

힘든 순간, 달콤하고 아름다운 열매로 목을 적시며 다시 일어섰다.

꽃들 사이에서 꽃들은 서로의 눈물이 되어 산다. 내가 죽어 꽃처럼 흩어져도 슬프지 않다.

귀신조차 쓸쓸해 살 수 없는 이 한 구석, 도체비꽃은 낮에도 혼자 무서워 창백해진다.

해발 6천 척 위에서 가축들은 사람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산다. 말들은 말끼리, 소는 소끼리 모여 잠시 어울렸다 흩어진다.

첫 새끼를 낳으려던 어미소는 크게 당황했다. 갑자기 산길 백리를 돌아 서귀포로 달려갔다. 물도 마시기 전에 어미를 잃은 송아지는 "움매-움매-" 울부짖었다. 마을 사람들, 등산객 모두에게 매달렸다. 나는 우리 아이들도 다른 어미에게 맡겨질까 봐 울었다.

풍란의 향기, 꾀꼬리들의 노래, 제주 회파람새의 휘파람 소리, 돌에 부딪치는 물소리, 멀리서 들려오는 바다 소리. 나는 길을 잘못 들었다가 다시 찾아 고부랑길로 나섰다. 마주친 아롱점말이를 피하지 않는다.

고비, 고사리, 더덕순, 도라지꽃, 취, 삭갓나물, 대출, 석용 - 별과 같은 방울을 단 고산 식물들을 새기며 취하고 잠든다. 백록담의 맑은 물을 그리워하며 산맥 위의 행렬은 구름보다 장엄하다. 소나기를 맞으며 무지개에 말려 궁둥이에 꽃물이 붙은 채 살이 부어오른다.

가재도 살 수 없는 백록담의 푸른 물에 하늘이 맴돈다. 불구가 될 듯한 지친 다리 위로 소가 지나간다. 쫓겨온 실구름 한 점에도 백록담은 흐려지지 않는다. 내 얼굴에 서린 한 조각의 백록담은 쓸쓸하다.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어버렸다.

 

 

#link:

 

 

 

#ref.:

https://ko.wikisource.org/wiki/%ED%96%A5%EC%88%98/%EB%B0%B1%EB%A1%9D%EB%8B%B4

 

 

반응형

'문학 (Literature) > 한국 시 (Korean Poe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정지용, <장수산1>  (1) 2024.12.03
Poem) 정지용, <춘설>  (2) 2024.12.01
Poem) 정지용, <비>  (0) 2024.11.29
Poem) 정지용, <고향>  (2) 2024.11.28
Poem) 한용운, <수의 비밀>  (1)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