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Poem) 백석, <개>: 겨울밤의 고향과 개 짖는 소리

sosohantry 2025. 5. 7. 15:02
반응형

백석, <개>

원문:
<개>

접시 귀에 소 기름이나 소뿔등잔에 아즈까리 기름을 켜는 마을에서는 겨울 밤 개 짖는 소리가 반가웁다.

이 무서운 밤을 아래 웃방성 마을 돌아다니는 사람은 있어 개는 짓는다.

낮배 어니메 치코에 꿩이라도 걸려서 산넘어 국수집에 국수를 받으려 가는 사람이 있어도 개는 짖는다.

김치 가재미선 동침이가 유별히 맞나게 익는 밤

아배가 밤참 국수를 받으려 가면 나는 큰마니의 돋보기를 쓰고 앉어 개짖는 소리를 들은 것이다.


 

---

현대어 변환 시도:

<개>

 

접시 귀에 소기름이나 소뿔등잔에 아주까리 기름을 켜는 마을에서는 겨울 밤 개 짖는 소리가 반갑습니다.


이 무서운 밤에 아래 마을, 윗마을을 돌아다니는 사람이 있어서 개는 짖습니다.

 

낮에 친 올가미에 꿩이라도 걸려서 산 너머 국수집에 국수를 받으러 가는 사람이 있어도 개는 짖습니다.

 

김치와 가자미선, 동침이가 유별나게 맛있게 익는 밤

 

아버지가 밤참 국수를 받으러 가면 나는 할머니의 돋보기를 쓰고 앉아 개 짖는 소리를 들은 것입니다.

 

 


&quot;겨울밤 눈 덮인 조용한 시골 마을 풍경. 화면 중앙에는 따뜻한 등불을 든 노인이 눈길을 걷고 있으며, 그의 앞에서는 밝은 털을 가진 개가 짖고 있다. 배경에는 눈이 덮인 초가집과 노란 불빛이 새어 나오는 창문, 앙상한 나뭇가지들, 그리고 희미하게 떠오른 보름달이 보인다. 전체적으로 수채화 특유의 부드럽고 번진 색감이 따스하면서도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낸다.&quot;

 

# perspectives

 

작가와 작품 분석

 

작가의 삶
백석(白石, 1912~1996)은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일제강점기와 분단의 시대를 살아간 대표적인 한국 현대시인입니다. 본명은 백기행(白夔行)이며, 일본에서 유학 후 귀국해 시집 『사슴』 등으로 등단했습니다. 그는 평생 고향과 가족, 민족의 정서를 노래했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생을 마쳤습니다. 백석은 방언과 토속어, 민중의 삶을 생생히 시에 담아냈으며, 친일시를 쓰지 않은 강직한 태도로도 유명합니다711.

 

작품의 정서, 상황, 시대적 배경
<개>는 일제강점기 1930~40년대 농촌 마을의 겨울밤을 배경으로 합니다. 시인은 고향 평안도의 토속적 풍경과 가족의 일상을 따뜻하게 그리면서도, 외부의 불안과 두려움을 개 짖는 소리로 표현합니다. 등잔불, 국수, 김치, 가재미 등 구체적이고 서민적인 소재들이 등장해, 일상 속의 소박한 행복과 동시에 시대의 불안함이 교차하는 정서를 보여줍니다18.

 

작품의 흥미로운 뒷이야기
백석은 평안도 방언과 고향의 사물을 시어로 자주 사용했습니다. 그의 시어는 당대 표준어가 아닌 지역어와 생소한 단어가 많아, 최근까지도 시어 해석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백석의 시는 해방 후 월북 작가라는 이유로 오랫동안 남한에서 금서였으나, 1980년대 해금 이후 재조명받고 있습니다49.

 

영향력 분석

 

이 작품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개>는 잊혀가는 고향의 정서와 가족의 따뜻함, 그리고 공동체의 소중함을 일깨워줍니다. 일상의 사소한 것들에서 위로와 연대를 찾는 감수성을 전해주어,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를 달래는 힘이 있습니다111.

 

이 작품에게 영향을 받은 분야

  • 한국 현대시에서 방언과 토속어, 민중의 삶을 시어로 사용하는 경향
  • 고향 상실과 가족, 공동체의 의미를 다루는 문학적 전통
  • 시어 연구 및 방언 연구 분야의 발전49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선정 및 답변 제공
Q) 백석 시 <개>에서 개 짖는 소리는 어떤 의미인가요?
A) 개 짖는 소리는 겨울밤의 외로움과 불안을 상징하면서도, 동시에 가족과 마을 공동체의 안전과 일상을 지키는 소리로 그려집니다. 이는 고향의 정서와 시대의 불안이 교차하는 백석 특유의 이중적 감성을 보여줍니다.

 

용어 및 배경 설명

  • 접시 귀: 접시처럼 넓고 펴진 개의 귀를 의미함.
  • 소 기름, 소뿔등잔: 소에서 얻은 기름, 소뿔로 만든 등잔. 농촌의 전통적 생활도구.
  • 아즈까리 기름: 일본어 '아즈카리(預かり, 맡기다)'에서 온 말로, 이 시에서는 등잔에 쓰는 기름(등유 등)을 의미.
  • 국수집: 마을에서 국수를 파는 집. 겨울밤에 국수를 사러 가는 일상.
  • 김치, 가재미선, 동침이: 김치, 가재미(생선), 동침이(김치 종류). 겨울에 익는 음식들로, 가족의 식탁과 공동체의 온기를 상징.
  • 돋보기: 나이든 가족이 사용하는 돋보기 안경. 세대와 가족의 일상적 풍경.

 

 


# link:

 

 

 

# ref.: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4368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