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행가사 목록 일부 :
- 백광홍, <관서별곡(關西別曲)>, 1556년
- 정철, <관동별곡(關東別曲)>, 1580년
- 조우인, <출새곡(出塞曲)>, 1617년경
- 조우인, <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 1623년경
- 송주석, <북관곡(北關曲)>, 1675년
- 작자미상, <연행별곡(燕行別曲)>, 1694년
- 박권, <서정별곡(西征別曲)>, 1695년
- 노명선, <천풍가(天風歌)>, 1698년경
- 권섭, <영삼별곡(寧三別曲)>, 1704년
- 위세직, <금당별곡(金塘別曲)>, 1707년 이전
- 이진유,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1726년경
- 황전, <피역가(避疫歌)>, 1727년
- 박순우, <금강별곡(金剛別曲)>, 1739년
- 정언유, <탐라별곡(耽羅別曲)>, 1750년경
- 신광수, <단산별곡(丹山別曲)>, 1752년경
- 이광명, <북찬가(北竄歌)>, 1756년경
- 김인겸,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1764년
- 이용, <북정가(北征歌)>, 1776년
- 이방익, <홍리가(鴻罹歌)>, 1783년
- 이방익, <표해가(漂海歌)>, 1797년
- 안도환, <만언사(萬言詞)>, 1800년 이전
- 연안 이씨, <부여노정기(扶餘路程記)>, 1802년
많이 하는 질문과 답변
- Q: 기행 가사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 A: 기행 가사는 자연과 여행을 주제로 하며,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지역의 문화와 역사적 사건을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Q: 기행 가사의 대표작은 무엇인가요?
- A: 대표작으로는 정철의 <관동별곡>과 조우인의 <관동속별곡>이 있습니다. 이 작품들은 관동 지방의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하며, 당시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합니다.
- Q: 기행 가사가 현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 A: 기행 가사는 현대인들에게 조선 시대의 문화와 자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여행과 자연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기타 설명
기행 가사는 조선 시대의 문학적 전통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자연과 여행을 주제로 한 작품들은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며, 작가의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현대에도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으며, 한국 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link:
- 백광홍, <관서별곡(關西別曲)>, 1556년
2025.03.19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백광홍, <관서별곡(關西別曲)> - 정철, <관동별곡(關東別曲)>, 1580년
2025.03.04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철, <관동별곡 (關東別曲)>: 관동 지방의 경치와 선정의 의지 - 조우인, <출새곡(出塞曲)>, 1617년경
2025.03.19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조우인, <출새곡(出塞曲)> - 조우인, <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 1623년경
2025.03.19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조우인, <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 - 송주석, <북관곡(北關曲)>, 1675년
2025.03.20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송주석, <북관곡(北關曲)> - 작자미상, <연행별곡(燕行別曲)>, 1694년
2025.03.20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연행별곡(燕行別曲)> - 박권, <서정별곡(西征別曲)>, 1695년
2025.03.22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박권, <서정별곡(西征別曲)> - 노명선, <천풍가(天風歌)>, 1698년경
2025.03.2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노명선, <천풍가(天風歌)> - 권섭, <영삼별곡(寧三別曲)>, 1704년
2025.03.24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권섭, <영삼별곡(寧三別曲)> - 권섭의 산수 유람을 담은 조선 후기 기행가사 - 위세직, <금당별곡(金塘別曲)>, 1707년 이전
2025.03.24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위세직, <금당별곡(金塘別曲)> - 섬마을 풍류 기행 - 이진유,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1726년경
2025.03.2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진유,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 유배지에서 피어난 충절의 노래 - 황전, <피역가(避疫歌)>, 1727년
2025.03.25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황전, <피역가(避疫歌)> : 역병 시대의 아름다운 여정과 인생 성찰 - 박순우, <금강별곡(金剛別曲)>, 1739년
2025.03.2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박순우, 금강별곡(金剛別曲): 박순우의 금강산 유람기, 조선 후기 산수 문학의 걸작 - 정언유, <탐라별곡(耽羅別曲)>, 1750년경
2025.03.26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정언유, <탐라별곡(耽羅別曲)>: 18세기 제주도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정언유의 걸작 - 신광수, <단산별곡(丹山別曲)>, 1752년경
2025.03.2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신광수, <단산별곡(丹山別曲)>: 18세기 조선의 풍류와 자연을 노래한 기행가사 - 이광명, <북찬가(北竄歌)>, 1756년경
2025.03.27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광명, <북찬가(北竄歌)>: 조선 후기 유배가사의 대표작 - 김인겸,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1764년
2025.03.31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김인겸,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조선 통신사의 시각으로 본 18세기 일본 - 이용, <북정가(北征歌)>, 1776년
2025.04.01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용, <북정가(北征歌)>: 조선 후기 이용의 함경도 기행문학 - 이방익, <홍리가(鴻罹歌)>, 1783년
2025.04.01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방익, <홍리가(鴻罹歌)>: 조선 후기 유배가사의 대표작 - 이방익, <표해가(漂海歌)>, 1797년
2025.04.03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이방익, <표해가(漂海歌)>: 풍랑을 넘어, 그리움에 닿다 - 안도환, <만언사(萬言詞)>, 1800년 이전
2025.04.02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안도환, <만언사(萬言詞)>: 조선 시대의 인생 무상함과 인간 존재 탐구 - 연안 이씨, <부여노정기(扶餘路程記)>, 1802년
2025.04.02 - [문학 (Literature)/한국 시 (Korean Poetry)] - Poem) 연안 이씨, <부여노정기(扶餘路程記)>: 여성의 여행과 정서
Poem) 백광홍, <관서별곡(關西別曲)>
백광홍, 현대어 원문:### 1관서(關西) 명승지(名勝地)에 왕명(王命)으로 보내시매행장(行裝)을 다스리니 칼 하나뿐이로다.연조문(延詔門) 내달려 모화고개 넘어드니,귀심(歸心)이 빠르
sosohantry.tistory.com
Poem) 정철, <관동별곡 (關東別曲)>: 관동 지방의 경치와 선정의 의지
정철, 江강湖호애 病병이 깁퍼 竹듁林님의 누엇더니,자연을 사랑하는 병이 깊어 대나무숲에 누웠더니關관東동八팔百ᄇᆡᆨ 里니에 方방面면을 맛디시니,팔백 리나 되는 강원도 관
sosohantry.tistory.com
Poem) 조우인, <출새곡(出塞曲)>
조우인, 원본: 북방(北方) 이십여 주(二十餘州)에 경성(鏡城)이 문호(門戶)ㅣ러니치병(治兵) 목민(牧民)을 날을 맛겨 보내시니망극(罔極) 성은(聖恩)을 갑플 일이 어려웨라서생(書生)
sosohantry.tistory.com
Poem) 조우인, <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
조우인, 四仙션의 노던 흘 関東관동이 긔라 호塵埃半生딘애반생애 歲月셰월이 거의러니物外烟霞물외 연하애 遠興원흥이 뵈와나니尋眞行李심진니 전나굇이로다武安寺무
sosohantry.tistory.com
Poem) 송주석, <북관곡(北關曲)>
송주석, 을묘츈乙卯春의 봉곡鳳谷 부군府君 긔쳐 우암尤庵 부군 뫼시고덕원德源 소配所의 가실졔 지으신 가歌辭니지평持平 오졍챵吳挺昌의 소疏희 진달進達노어명御命이 나리
sosohantry.tistory.com
Poem) <연행별곡(燕行別曲)>
원문: 연경(燕京)만리(萬里)예 / 륙샥(六朔)을 치(治行)야지월(至月) 초삼일(初三日)의 / 북궐(北闕)의 하직(下直)고갈 길을 도라보니, / 구름 밧긔 하일군명(君
sosohantry.tistory.com
Poem) 박권, <서정별곡(西征別曲)>
박권, 원본: 명시(明時)에 득죄(得罪)야 / 전야(田野)의 도라와셔일곡(一曲) 셤호(蟾湖)의 / 모옥(茅屋)을 지어 두고,연(煙沙) 월적(月磧)의 / 경조(耕釣)를 일을 삼아
sosohantry.tistory.com
Poem) 노명선, <천풍가(天風歌)>
노명선, 천풍가(天風歌)라 노청사(盧淸沙)라원문: 공명의 명고 부귀예 연분 업셔탁낙 문장이 옥의 혀노니튱효 양졀을 원대로 못할망졍선풍 도골이 셰속에 마즐소야연
sosohantry.tistory.com
Poem) 권섭, <영삼별곡(寧三別曲)> - 권섭의 산수 유람을 담은 조선 후기 기행가사
권섭, ## 원문:이 몸이 텬디간天地間의 올 젼혀 업서삼십년三十年 광음光陰을 흐롱하롱 보내여다풍졍風情이 호탕浩蕩여 믈외物外예 연업緣業으로녹슈綠水 쳥산靑山의 분分
sosohantry.tistory.com
Poem) 위세직, <금당별곡(金塘別曲)> - 섬마을 풍류 기행
위세직, ## 원문:금당별곡金塘別曲이라삼죡당足堂이라 일신一身의 병이 드어 만사萬事애 흥황興況 업셔쥭林 깁푼 곳의 원학猿鶴을 벗슬 삼마십년十年 셔창書牕의 고인시古人詩
sosohantry.tistory.com
Poem) 이진유,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 유배지에서 피어난 충절의 노래
이진유, ## 원문:삼년(三年)을 님을 나 뉴락(流落)니내 언졔 무심(無心)여 님의게 득죄(得罪)가님이 언졔 박졍(薄情)여 날 대졉(待接) 소(疎)히 가내 얼골 곱돗던지 질투(
sosohantry.tistory.com
Poem) 황전, <피역가(避疫歌)> : 역병 시대의 아름다운 여정과 인생 성찰
황전, ## 원문:1避疫歌(피역가) 2고기 여 換酒야 一杯一杯 自酌니3功名 富貴 볼을소냐 醉 興이 건들야4興德을 도라보니 쟈금도 쟈글시고5丈夫身을 어 두리 四海 다
sosohantry.tistory.com
Poem) 박순우, 금강별곡(金剛別曲): 박순우의 금강산 유람기, 조선 후기 산수 문학의 걸작
박순우, 금강별곡(金剛別曲) 금강별곡 기미본 원문:1金剛別曲 2此身이 悠悠야 山水의 癖이 잇셔3名山을 遍踏홈이 一生의 素計로다4江原道 金剛山이 三山 中 一山이라5東方의 第一
sosohantry.tistory.com
Poem) 정언유, <탐라별곡(耽羅別曲)>: 18세기 제주도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정언유의 걸작
정언유, 원문:1耽羅別曲 (탐라별곡) 2耽羅 녯 都邑이 몃 千年 基業인고3星主 王子 지난 後에 物換星移 오도다4城郭이 곳쳐스니 人民인들 녯 갓흘손가5聖朝의 臣屬되 命吏를 보
sosohantry.tistory.com
Poem) 신광수, <단산별곡(丹山別曲)>: 18세기 조선의 풍류와 자연을 노래한 기행가사
신광수, 단산별곡 원문:1丹山別曲 (단산별곡) 2人生至樂 혀여 보니 山水밧긔 잇가3烟霞 痼疾이오 泉石 膏肓이라4淸福이 잇돗던지 聖恩이 至極샤5領運使 湖南 의 海山 風
sosohantry.tistory.com
Poem) 이광명, <북찬가(北竄歌)>: 조선 후기 유배가사의 대표작
이광명, 북찬가 원문:1北竄歌 (북찬가) 2가련可憐타 묘여일신藐如一身3턴지간天地間의 뉘 비比고4십셰十歲에 조고早孤니5엄안嚴顔을 안다 가6일一生을 영폐永廢니7군문君
sosohantry.tistory.com
Poem) 김인겸,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조선 통신사의 시각으로 본 18세기 일본
김인겸, 일동장유가 원본:## 1권1일동쟝유가 졔일 김인겸 소 2- 1a~2b에는 '계미통신 좌목'이 있으나 직책과 인명의 나열이므로 생략함. 세종말뭉치에도 입력하지 않음. - 3평
sosohantry.tistory.com
Poem) 이용, <북정가(北征歌)>: 조선 후기 이용의 함경도 기행문학
이용, 원문:1. 北征歌(북정가) 2내 본 悠悠者로 百年을 放蕩려3風塵에 친 막대 곳곳이 집퍼셰라4山水에 다 눈이 塞外예 여단 말가5滔滔 놉흔 興이 千里志 아내니6長
sosohantry.tistory.com
Poem) 이방익, <홍리가(鴻罹歌)>: 조선 후기 유배가사의 대표작
Poem) 이방익, 원문:1鴻罹歌(홍리가)2이방익(李邦翊) 3어져! 내일이야! / 이러 쥴 어이 알니?4班超(반초)의 붓을 더져 / 立身揚名(입신양명) 랴 제,5出將(출장) 入相(입상)은 /
sosohantry.tistory.com
Poem) 이방익, <표해가(漂海歌)>: 풍랑을 넘어, 그리움에 닿다
이방익, 원문:1漂海歌 (표가) 2耽羅居人 李邦翼은 世代로 武科로서3이몸에 이르러서 武科出身 하엿네(다)4聖恩이 罔極하야 忠壯將 職名고5受由어더 覲親하니 丙辰九月 念日이
sosohantry.tistory.com
Poem) 안도환, <만언사(萬言詞)>: 조선 시대의 인생 무상함과 인간 존재 탐구
안도환, 원문:1萬言詞 (만언사) 2어와 벗님야 말 드러보소3인 텬지간에 긔아니 늣거온가4평을 다사라도 다만지 년이요5하물며 년이 반료시 어려오니6구지 과극
sosohantry.tistory.com
Poem) 연안 이씨, <부여노정기(扶餘路程記)>: 여성의 여행과 정서
연안 이씨, 1부여노정기(扶餘路程記) 2황정경 한 글자를 어찌하여 잘못 알고3인간세계에 내려와서 평생에 병이 많아4북쪽 창 아래 누웠으니 뜻대로 하기 어렵도다5태평성대 꿈
sosohantry.tistory.com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학 (Liter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st) 십이가사는 무엇인가요? (조선 선비들의 정서와 자연을 담은 12곡의 서정적 노래) (1) | 2025.03.18 |
---|---|
List) 조선시대의 시 목록: 조선의 성립과 문학적 성과, 유교적 가치와 자연의 아름다움, 계절과 삶의 반영 (3) | 2025.03.09 |
List) 고려가요 목록 (0) | 2025.03.04 |
List) 향가 목록 (1) | 2025.02.27 |
List) 한국의 고대 가요 목록 (0) | 2025.02.23 |